'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153건
- 2008.07.03 18. CentOS 에서 Xmanager 를 위한 설정하기 2
- 2008.06.26 PC 견적 비교 ( 보통 or 하이엔드) 7
- 2008.06.16 17.1 네트워크 개념 잡기 IP/NETMASK/DefaultGW/DNS 5
- 2008.06.16 17. 명령어 모드에서 네트워크 설정 ifconfig 와 route 2
- 2008.06.04 시스템관리툴킷 : 로그파일 이해하기
- 2008.05.22 15. 삼바서버 설정하기 ( 초간단) 7
- 2008.05.19 2008년5월19일 컴터견적 9
- 2008.05.19 14. history 에 날짜를 보이도록
- 2008.05.15 13. 쓸데없는 파일 용량 줄이기
- 2008.05.09 12. 리눅스에 대한 좋은 링크 2
- 2008.05.07 11. 파일 개수 세기 3
- 2008.04.21 10. 시간 동기화 rdate 와 다른 NTP 6
- 2008.03.05 [리눅스 다운받는 곳] 1
- 2008.02.28 파이어폭스 2.0 에서 자바애플릿 플러그인 설정방법 2
- 2007.11.22 [펌글] 리눅스 하드 관리하기
- 2007.11.22 [펌글] DHCP 란?
- 2007.11.22 [펌글] VNC 서버 1
- 2007.11.20 9. 리눅스 df 명령어
- 2007.10.18 옷을 따로 다릴 필요없는 짐싸기. ㅋ
- 2007.10.18 시간은 돈 ! ㅋ
[출처] Xmanager를 이용하여 리눅스 연결하기 |작성자 메저리그
실제로 CentOS 5 version 을 설치한 PC 로 의 설정을 해보도록 하자
우선 GDM 이라는 rpm 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GDM version 확인
나오는 창에서 보안(Security)탭에서
원격 관리자 로그인 허용 탭에 체크 Allow remote system administrator login
만약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다면 <원격> 탭에서 Style 부분에서 Same as local 을 선택해주면 선택할 수 있게 활성화가 된다.
원격으로 Xmanager 를 사용해서 접속해보자.
'내가쓰는리눅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 man 페이지 내용을 파일로 보자. (2) | 2009.04.23 |
---|---|
22. lame : mp3 인코더 (0) | 2009.01.30 |
21. 부팅시 실행레벨설정 ( X-window 로 또는 터미널으로) (2) | 2009.01.21 |
20 . SSH 터미널의 프롬프트에서 절대경로 표시법 (0) | 2009.01.20 |
19. 콘솔 모드에서의 해상도 조절 (1) | 2008.11.03 |
17.1 네트워크 개념 잡기 IP/NETMASK/DefaultGW/DNS (5) | 2008.06.16 |
17. 명령어 모드에서 네트워크 설정 ifconfig 와 route (2) | 2008.06.16 |
15. 삼바서버 설정하기 ( 초간단) (7) | 2008.05.22 |
14. history 에 날짜를 보이도록 (0) | 2008.05.19 |
13. 쓸데없는 파일 용량 줄이기 (0) | 2008.05.15 |
최저 견적가 80 만원 물론 조립하면 5만원 추가 감안해서 대략 85만
2. 하이엔드
다나와 최저가 89 만 이니까 대략 95만에서 100만 ㅋㅋ
음 어떤게 좋을까나? ㅋㅋ
3 하이엔드 수정판 . ( 이거면 척도 맘에 들듯. ㅋㅋ )
가격은 덜덜 ㅋㅋ
'EnjoyYour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사이트 도구 ? (4) | 2009.04.07 |
---|---|
네이트온 움직이는 이모티콘 설정하기 (긴급요청에 의한 것!) (0) | 2009.04.03 |
과속 스캔들 (0) | 2008.12.23 |
구글 크롬 잠시 써본 느낌 ? (1) | 2008.09.11 |
가고 싶다 제주도 ㅋ (6) | 2008.07.08 |
2008년5월19일 컴터견적 (9) | 2008.05.19 |
옷을 따로 다릴 필요없는 짐싸기. ㅋ (0) | 2007.10.18 |
시간은 돈 ! ㅋ (0) | 2007.10.18 |
멀티 전원 플러그 (0) | 2007.08.20 |
운동화끈 안 풀리게 묶는 법 (1) | 2007.07.31 |
흔히 말하는 네트워크주소 흔히들 IP 주소라고 하지요
과연 여러분이 사용하는 인터넷은 어떻게 구성이 되어 있을 까요?
가장 흔항 예를 들어 공유기를 설치해서 사용하고 있다고 합시다.
공유기는 두 종류의 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WAN : 외부의 공인 아이피를 가지는 포트이죠 ( ISP 인터넷제공업체로부터 들어오는 라인을 여기에 연결)
LAN : 공유기 밑에 붙이는 컴퓨터들을 주로 연결합니다..
WAN 은 복잡하니까 간단히 LAN 을 예로 들어서 살펴봅니다.
공유기의 설정화면을 들어가보면 보통 다음과 같이 LAN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공유기의 IP 주소 : 192.168.0.1
LAN 에 사용가능한 아이피 : 192.168.0.2 ~ 192.168.0.254
NETMASK : 255.255.255.0
공유기가 중요한게 아니라 LAN 밑의 컴퓨터 구성이 중요하겠죠
그럼 PC 1 이라 가정하고 아이피는 192.168.0.2 를 가지도록 설정해서 설명하죠
서브넷마스크 : 255.255.255.0
디폴트게이트웨이 : 192.168.0.1
DNS : 168.126.63.1
이렇게 고정아이피로 설정을 한 경우에 설명들어갑니다.
(1) 서브넷 마스크 란 ? 이건 머 커다란 네트워크를 조그만한 여러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구분해서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값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러면 왜 커다란 네트워크 한개로 사용하지 굳이 작은 여러개로 나눠서 사용하느냐? 그건 바로 뒤에 설명할 브로드캐스팅 이나 아니면 상업적 용도로 나눠서 팔기 위해서 입니다.
(2) 브로드캐스팅 이란 ? 브로드캐스팅은 하나의 네트워크 망 안에서 그 안에 연결된 모든 PC 에게 메세지를 뿌리는 것이라고 간단히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C 의 이름이 test 라는 PC 를 찾고 싶다면 192.168.0.255 라는 브로드캐스팅 주소로 < test 란 PC 는 응답하라 !! > 라는 메세지를 네트워크 전체로 뿌리는 거죠.
즉 방송(broadcast) 한다고 생각 하심 쉬울 겁니다. 물론 test 가 아닌 다른 PC 들은 메세지를 무시하게 되고
정작 당사자인 test 라는 PC 는 이 메세지에 다시 반응해서 < 나(test)는 192.168.0.2 라는 아이피를 가지고 잇으니 이 아이피로 메세지를 보내라 !! > 라고 다시 응답하게 되죠 . 그 뒤로 아이피로 찾아가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팅은 사용하지 않지요
앞에서 서브넷을 나누지 않고 사용하는 커다란 네트워크가 있따고 가정하면
이것은 브로드캐스팅 메세지들이 차지하는 대역폭 때문에 실제로 데이터가 왔다갔다 하는 메세지들이 가지를 못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도 있는 것이죠.
(3) 디폴트게이트웨이 란 ? 서브넷이 나눠져 있는 네트워크 이므로 다른 네트워크로 가기 위해서는
거쳐가는 관문이 필요합니다. 그게 바로 디폴트게이트웨이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서 지금 공유기 밑의 PC 에서 외부의 포탈 사이트로 웹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순서로 패킷이 진행됩니다.
( 이런 것을 보시려면 CMD 창에서 tracert 라는 명령어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
- pc 의 주소 : 192.168.0.2
- 공유기의 주소 : 192.168.0.1
- 중간의 네트워크 망들의 라우터 ( 여러개를 거치게 됩니다 )
- 최종목적지 : 포탈의 웹서버
그러면 LAN 밑의 PC 입장에서는 공유기의 아이피주소가 바로 디폴트게이트웨이가 되는 것이죠.
(4) DNS 란 ? 간단히 말해서 도메인네임서버의 준말이고 이것은 영문(또는한글)주소를 아이피주소로 바꿔서 PC에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익스플로러 주소창에 www.tistory.com 를 주소창에 쓰고 엔터를 눌렀을때
컴퓨터는 이것이 어느 아이피로 가야 할지 모릅니다. 그래서 DNS (도메인네임서버) 에 물어보죠.
< 이런 주소는 어느 아이피로 가야하느냐? >
그럼 DNS 가 바로 응답을 보내주죠
< 아이피는 xxx.xxx.xxx.xxx 이다 >
그러면 PC 는 영어가 아닌 숫자로 된 아이피 주소로 접속을 하게 되고
포탈의 웹서버가 웹페이지를 띄워줘서 여러분이 볼 수 있게 됩니다.
DNS는 공유기 주소로 하거나 아니면 KT 또는 하나로 등등에서 제공하는 DNS 주소를 적어주셔도 무방합니다.
머 간략한 설명이므로 이해 안가면 책을 보세요 .ㅋㅋ
'내가쓰는리눅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lame : mp3 인코더 (0) | 2009.01.30 |
---|---|
21. 부팅시 실행레벨설정 ( X-window 로 또는 터미널으로) (2) | 2009.01.21 |
20 . SSH 터미널의 프롬프트에서 절대경로 표시법 (0) | 2009.01.20 |
19. 콘솔 모드에서의 해상도 조절 (1) | 2008.11.03 |
18. CentOS 에서 Xmanager 를 위한 설정하기 (2) | 2008.07.03 |
17. 명령어 모드에서 네트워크 설정 ifconfig 와 route (2) | 2008.06.16 |
15. 삼바서버 설정하기 ( 초간단) (7) | 2008.05.22 |
14. history 에 날짜를 보이도록 (0) | 2008.05.19 |
13. 쓸데없는 파일 용량 줄이기 (0) | 2008.05.15 |
12. 리눅스에 대한 좋은 링크 (2) | 2008.05.09 |
마우스 클릭으로 하면 되니까.
하지만 원격 시스템의 경우 VNC 접속조차 되지 않으면 명령어로 해야 한다.
SSH 콘솔 상에서의 설정을 살펴보자
우선 기본적으로 다음의 위치에 ifcfg-eth0 과 ifcfg-eth1 을 살펴보도록 하자 .
랜이 1 개라면 eth0 파일만 존재한다 .
윈도우의 ipconfig 와 비슷한 명령이 바로 ifconfig 이다 .
ifconfig 로는 단순히 모든 eth 디바이스의 아이피 정보를 확인할 수 있지만 ifconfig 명령어로 직접
아이피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의 네트워크 정보를 가진 리눅스를 ifconfig 명령어와 route 명령어로 설정하자
subnet mask : 255.255.255.0
default gateway : 192.168.0.1
broadcast : 192.168.0.255
route add default gw 192.168.0.1 dev eth0
위에서 첫번재 줄은 아이피와 서브넷을 설정한 것이고
아래 route 명령어는 디폴트GW 를 설정한 것이다 .
'내가쓰는리눅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부팅시 실행레벨설정 ( X-window 로 또는 터미널으로) (2) | 2009.01.21 |
---|---|
20 . SSH 터미널의 프롬프트에서 절대경로 표시법 (0) | 2009.01.20 |
19. 콘솔 모드에서의 해상도 조절 (1) | 2008.11.03 |
18. CentOS 에서 Xmanager 를 위한 설정하기 (2) | 2008.07.03 |
17.1 네트워크 개념 잡기 IP/NETMASK/DefaultGW/DNS (5) | 2008.06.16 |
15. 삼바서버 설정하기 ( 초간단) (7) | 2008.05.22 |
14. history 에 날짜를 보이도록 (0) | 2008.05.19 |
13. 쓸데없는 파일 용량 줄이기 (0) | 2008.05.15 |
12. 리눅스에 대한 좋은 링크 (2) | 2008.05.09 |
11. 파일 개수 세기 (3) | 2008.05.07 |
'리눅스 퍼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32bit 와 64bit 구분 (0) | 2010.03.29 |
---|---|
rpm 명령어 자세한 옵션 (2) | 2008.11.11 |
mplayer 설치하기 (0) | 2008.09.09 |
[펌글] 리눅스 하드 관리하기 (0) | 2007.11.22 |
[펌글] DHCP 란? (0) | 2007.11.22 |
[펌글] VNC 서버 (1) | 2007.11.22 |
일단 X-window 의 메뉴에서 System Settings >> Server Settings >> Samba
나타나는 화면에서
Add 를 눌러 디렉토리를 설정
Edit Samba Share 의 Access 탭에서 Allow access to everyone 선택
다시 Samba Server Configuration 에서
Perferences 를 눌러 나타나는 Server Settings 에서
(1) Base 탭에서
Workgroup 란에 WORKGROUP ( 이것은 보통 윈도우의 디폴트 값과 같이 설정하기 위해 )
(2) Security 탭에서
Authentication Mode 를 User 로 설정
그런다음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를 리눅스 유저에 추가
adduser test
<< test 라는 유저를 생성
passwd test
<< test 란 유저의 패스워드 설정
smbpasswd -a test
<< 삼바를 test 라는 유저가 사용하기 위한 패스워드 설정
그런 다음 service smb restart 하고
윈도우에서 \\서버의아이피
하면
아이디 패스워드를 물어보게 된다.
만약 접속자체가 안된다면 smb.conf 파일을 찾아서 ( /etc/samba/smb.conf )
거기의 hosts.allow 란에 자신의 네트워크 아이피 대역을 적어줌
'내가쓰는리눅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 . SSH 터미널의 프롬프트에서 절대경로 표시법 (0) | 2009.01.20 |
---|---|
19. 콘솔 모드에서의 해상도 조절 (1) | 2008.11.03 |
18. CentOS 에서 Xmanager 를 위한 설정하기 (2) | 2008.07.03 |
17.1 네트워크 개념 잡기 IP/NETMASK/DefaultGW/DNS (5) | 2008.06.16 |
17. 명령어 모드에서 네트워크 설정 ifconfig 와 route (2) | 2008.06.16 |
14. history 에 날짜를 보이도록 (0) | 2008.05.19 |
13. 쓸데없는 파일 용량 줄이기 (0) | 2008.05.15 |
12. 리눅스에 대한 좋은 링크 (2) | 2008.05.09 |
11. 파일 개수 세기 (3) | 2008.05.07 |
10. 시간 동기화 rdate 와 다른 NTP (6) | 2008.04.21 |
음 나름 최고 사양 비스무리하게 뽑아본건데 .
VGA 가 요즘 어떤지 모르겠넹 ;
이거 린지 업데이트할 때마다 컴터를 업글하거나 장만해야 하나 ㅡㅡㅋ
흠 쿼드가 나으려나 ?
케이스도 맘에 드는건 없구 비싸기만 하구 .
음 글고 보니 파워를 안 넣었군
누가 좋은 파워 추천을 .ㅎㅎ
ㅎㅎ 척의 의견 고려 해서 다시 ㅋㅋ
음 용도를 다시 고려하고 가격 고려해서 ㅎㅎ 대략 85 에서 90 나올듯. ㅋ
'EnjoyYour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트온 움직이는 이모티콘 설정하기 (긴급요청에 의한 것!) (0) | 2009.04.03 |
---|---|
과속 스캔들 (0) | 2008.12.23 |
구글 크롬 잠시 써본 느낌 ? (1) | 2008.09.11 |
가고 싶다 제주도 ㅋ (6) | 2008.07.08 |
PC 견적 비교 ( 보통 or 하이엔드) (7) | 2008.06.26 |
옷을 따로 다릴 필요없는 짐싸기. ㅋ (0) | 2007.10.18 |
시간은 돈 ! ㅋ (0) | 2007.10.18 |
멀티 전원 플러그 (0) | 2007.08.20 |
운동화끈 안 풀리게 묶는 법 (1) | 2007.07.31 |
7월19일자 데스크탑 견적 (2) | 2007.07.19 |
# Add timestamp to .bash_history
HISTTIMEFORMAT="%Y-%m-%d_%H:%M:%S\ "
export HISTTIMEFORMAT
위와 같이 /etc/profile 파일에 추가 후 source /etc/profile 또는 ssh 로 재로그인 후 부터는
history 명령어 입력시 Column 2 에 연/월/일/시/분/초 의 시간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rootnya root]# history
959 2007-06-23_02:08:59\ vi /home/com/www/bbs/skin/member_list/list_main.php
960 2007-06-23_02:10:00\ ps aux
961 2007-06-23_02:10:01\ ps ax
962 2007-06-23_05:24:47\ vi /etc/procmailrc
963 2007-06-23_05:25:07\ /etc/init.d/qmail reload
964 2007-06-23_05:25:08\ ps aux
965 2007-06-23_05:25:11\ /etc/init.d/qmail restart
966 2007-06-23_05:25:12\ ps aux
967 2007-06-23_05:25:20\ tail -f /var/log/qmail/procmail
968 2007-06-23_05:25:31\ vi /etc/procmailrc
969 2007-06-23_05:25:39\ /etc/init.d/qmail restart
970 2007-06-23_05:25:47\ vi /var/log/qmail/procmail
971 2007-06-23_05:26:38\ vi /etc/procmailrc
972 2007-06-23_05:26:49\ /etc/init.d/qmail restart
[root@rootnya root]# history
단, bash-3.0-alpha 이상의 bash 부터 HISTTIMEFORMAT 변수를 지원합니다.
이전 버전의 bash 는 위 이상의 버전으로 업데이트 후 부터 지원이 됩니다.
크리티컬한 분석 또는 시스템 레포팅 작성시 유용한 정보를 하나 더 얻을 수 있는 팁입니다.
참고 :
W 와 스페이스(빈칸) 을 해주셔야 잘 됩니다.
'내가쓰는리눅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콘솔 모드에서의 해상도 조절 (1) | 2008.11.03 |
---|---|
18. CentOS 에서 Xmanager 를 위한 설정하기 (2) | 2008.07.03 |
17.1 네트워크 개념 잡기 IP/NETMASK/DefaultGW/DNS (5) | 2008.06.16 |
17. 명령어 모드에서 네트워크 설정 ifconfig 와 route (2) | 2008.06.16 |
15. 삼바서버 설정하기 ( 초간단) (7) | 2008.05.22 |
13. 쓸데없는 파일 용량 줄이기 (0) | 2008.05.15 |
12. 리눅스에 대한 좋은 링크 (2) | 2008.05.09 |
11. 파일 개수 세기 (3) | 2008.05.07 |
10. 시간 동기화 rdate 와 다른 NTP (6) | 2008.04.21 |
[리눅스 다운받는 곳] (1) | 2008.03.05 |
쌓여있을 것이다.
이것은 물론 중요할 때가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필요없는 경우도 있다
더군다나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용량이 부담스러울때는
파일은 그대로 두고 싶고 용량만 0 으로 만들고 싶을때는
다음과 같이 한다
이것은 root 파일은 그대로 계속 있게 하면서
용량만 0 으로 만들어 버린다.
주기적으로 지우고 싶다면 crontab 에 등록을 하면 된다.
'내가쓰는리눅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8. CentOS 에서 Xmanager 를 위한 설정하기 (2) | 2008.07.03 |
---|---|
17.1 네트워크 개념 잡기 IP/NETMASK/DefaultGW/DNS (5) | 2008.06.16 |
17. 명령어 모드에서 네트워크 설정 ifconfig 와 route (2) | 2008.06.16 |
15. 삼바서버 설정하기 ( 초간단) (7) | 2008.05.22 |
14. history 에 날짜를 보이도록 (0) | 2008.05.19 |
12. 리눅스에 대한 좋은 링크 (2) | 2008.05.09 |
11. 파일 개수 세기 (3) | 2008.05.07 |
10. 시간 동기화 rdate 와 다른 NTP (6) | 2008.04.21 |
[리눅스 다운받는 곳] (1) | 2008.03.05 |
9. 리눅스 df 명령어 (0) | 2007.11.20 |
'내가쓰는리눅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1 네트워크 개념 잡기 IP/NETMASK/DefaultGW/DNS (5) | 2008.06.16 |
---|---|
17. 명령어 모드에서 네트워크 설정 ifconfig 와 route (2) | 2008.06.16 |
15. 삼바서버 설정하기 ( 초간단) (7) | 2008.05.22 |
14. history 에 날짜를 보이도록 (0) | 2008.05.19 |
13. 쓸데없는 파일 용량 줄이기 (0) | 2008.05.15 |
11. 파일 개수 세기 (3) | 2008.05.07 |
10. 시간 동기화 rdate 와 다른 NTP (6) | 2008.04.21 |
[리눅스 다운받는 곳] (1) | 2008.03.05 |
9. 리눅스 df 명령어 (0) | 2007.11.20 |
8. 리눅스 명령어 find 와 옵션 (12) | 2007.10.15 |
먼저 파일의 리스트를 txt 파일로 리다이렉트 한다.
그런 다음
하면 개수가 나온다
SEEMS 의 수정대로 하면 아예 한 화면에서 파일 개수를 셀 수 있다.
'내가쓰는리눅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명령어 모드에서 네트워크 설정 ifconfig 와 route (2) | 2008.06.16 |
---|---|
15. 삼바서버 설정하기 ( 초간단) (7) | 2008.05.22 |
14. history 에 날짜를 보이도록 (0) | 2008.05.19 |
13. 쓸데없는 파일 용량 줄이기 (0) | 2008.05.15 |
12. 리눅스에 대한 좋은 링크 (2) | 2008.05.09 |
10. 시간 동기화 rdate 와 다른 NTP (6) | 2008.04.21 |
[리눅스 다운받는 곳] (1) | 2008.03.05 |
9. 리눅스 df 명령어 (0) | 2007.11.20 |
8. 리눅스 명령어 find 와 옵션 (12) | 2007.10.15 |
7. 리눅스의 시간 date 와 hwclock (0) | 2007.09.04 |
그중에서 NTP 는 좀더 정확한시간을 동기화 시킬 수 있다고 한다.
리눅스에서 NTP 를 사용하는 방법은
(1) GUI 에서
System setting >> Date & Time 에서 NTP 탭을 눌러서 동기화시킬 서버의 IP 나 주소
( 물론 주소로 하기 위해서는 DNS 설정이 잘 되어 있어야 함 ) 를 추가하고
확인 을 누르면 NTP 데몬이 시작되면서 시간동기화를 수행한다.
(2) Text 환경 즉 SSH 에서
/etc/ntp.conf 파일중에서 맨 마지막에 보면
restrict 0.pool.ntp.org mask 255.255.255.255 nomodify notrap noquery
restrict 1.pool.ntp.org mask 255.255.255.255 nomodify notrap noquery
restrict 2.pool.ntp.org mask 255.255.255.255 nomodify notrap noquery
server time.bora.net
restrict time.bora.net mask 255.255.255.255 nomodify notrap noquery
server 203.248.240.103
restrict 203.248.240.103 mask 255.255.255.255 nomodify notrap noquery
빨간색이 새로 추가한 time 동기화 서버의 주소임.
service ntdp start 하면 될 듯.
추가 질문 사항
- NTP 는 도대체 얼마마다 시간 동기화를 시키는 것일까 ?
( ntpd.conf 파일을 찾아봐야 하나 ?? )
- Broadcast Type : 64초마다 1개의 Transaction (Packet 1개) 을 보냄 → 지속됨
- unicast type : 64초마다 1개의 Transaction (Packet 2개) 을 보냄 → 8번
64초마다 5개의 Transaction 연속 성공 시 → 128초 주기로 변경
128초마다 5개의 Transaction 연속 성공 시 → 256초 주기로 변경
256초마다 5개의 Transaction 연속 성공 시 → 512초 주기로 변경
512초마다 5개의 Transaction 연속 성공 시 → 1024초 주기로 변경
실패 시 64초로 poll 주기 변경
'내가쓰는리눅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 삼바서버 설정하기 ( 초간단) (7) | 2008.05.22 |
---|---|
14. history 에 날짜를 보이도록 (0) | 2008.05.19 |
13. 쓸데없는 파일 용량 줄이기 (0) | 2008.05.15 |
12. 리눅스에 대한 좋은 링크 (2) | 2008.05.09 |
11. 파일 개수 세기 (3) | 2008.05.07 |
[리눅스 다운받는 곳] (1) | 2008.03.05 |
9. 리눅스 df 명령어 (0) | 2007.11.20 |
8. 리눅스 명령어 find 와 옵션 (12) | 2007.10.15 |
7. 리눅스의 시간 date 와 hwclock (0) | 2007.09.04 |
6. vsftp 유용한 옵션 (0) | 2007.07.13 |
'내가쓰는리눅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history 에 날짜를 보이도록 (0) | 2008.05.19 |
---|---|
13. 쓸데없는 파일 용량 줄이기 (0) | 2008.05.15 |
12. 리눅스에 대한 좋은 링크 (2) | 2008.05.09 |
11. 파일 개수 세기 (3) | 2008.05.07 |
10. 시간 동기화 rdate 와 다른 NTP (6) | 2008.04.21 |
9. 리눅스 df 명령어 (0) | 2007.11.20 |
8. 리눅스 명령어 find 와 옵션 (12) | 2007.10.15 |
7. 리눅스의 시간 date 와 hwclock (0) | 2007.09.04 |
6. vsftp 유용한 옵션 (0) | 2007.07.13 |
5. cron 과 그 활용법 (0) | 2007.07.12 |
c:\program files\jre1.6.0-03 아래 bin 에서
다음의 파일들을
c:\Program Files\Mozila\plugins 에 복사한다.
npjava32.dll
npjava11.dll
npjava12.dll
npjava13.dll
npjava14.dll
npjpi160_03.dll
NPOJI610.dll
이것은 JRE 1.6.0 을 기준으로 한 것임
리눅스에서는 링크파일을 걸어주면 된다.
ln -s /usr/java/jre1.5.0_04/plugin/i386/ns7/libjavaplugin_oji.so /usr/lib/firefox-1.0.4/plugins/
'쓸만한유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롬 확장기능 : Bulk URL Opener (0) | 2024.11.15 |
---|---|
아웃룩 2013 버전 메일 보내고 자동으로 받은편지함에 복사본 들어가도록 (0) | 2024.11.15 |
RGB 추출기 (0) | 2012.12.21 |
무료 PDF 변환 프로그램 (0) | 2012.12.05 |
바탕화면 정리 및 폴더 묶음 fences (0) | 2010.07.16 |
Cygwin 윈도우에서 리눅스환경을 누려보자 (4) | 2009.04.20 |
SFTP 와 FTP 용 클라이언트 Filezilla (0) | 2009.01.21 |
MP3Gain : mp3파일의 음량을 일정하게 조정 (1) | 2008.09.26 |
GMT 별로 알려주는 프로그램 (단순히시계) (0) | 2008.09.11 |
메모리 적게 차지하는 MP3 플레이어 (1) | 2007.08.18 |
이 글은 슈퍼유저코리아(superuser.co.kr)에서 퍼왔습니다. 리눅스 서버운영을 시작하면서 궁금한 점이 너무 많고 하나하나 배워가는 입장이라서 어디 모아둘만한 공간이 필요해서 퍼온 것 입니다.
강 좌 목 표 -강좌버전 1.5-
SCSI하드드시크 하나를 사용중 추가로 SCSI하드디스크하나를 더 장착하여 커널에 인식시킨후에 파일시스템을 만들고 만든 파일시스템을 포맷하여 마운트시킬 디렉토리를 만든다음 이 디렉토리에 생성된 파일시스템을 마운트시키는 작업. 그리고 이 작업이 끝난후에 부팅시 자동마운트되도록 /etc/fstab에 설정추가한다.
1. 현재 사용중인 하드디스크 확인(추가전)
먼저, 현재 사용중인 하드디스크를 확인해 보도록 하자.
/etc/fstab이라는 파일은 리눅스부팅시에 자동으로 마운트시키기위한 "파일시스템테이블(file system table)"이다.
즉, 리눅스가 부팅이 되면서 이 파일을 참조하여 설정된 내용대로 마운트를 시켜 사용가능토록하는 것이다.
위의 /etc/fstab은 하드디스크가 추가되기전의 /etc/fstab 내용이다.
보시는 바와 같이 /dev/sda라는 하드디스크 하나만이 장착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df -k"로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정보를 확인해본 것이다.
확인해 본 바와 같이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은 sda의 하드디스크 하나를 몇 개의 파일시스템으로 나누어 사용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좀더 확실히 확인키위해 mount라는 명령어로 현재 리눅스서버에 마운트된 파일시스템이 어떤 것들이 있는가를 정확히 확인해 본 것이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sda라는 하드디스크를 몇 개의 파일시스템으로 나누어서 사용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그림3개에서 확인된 내용을 추가 하드디스크를 장착하여 파일시스템을 만들고 마운트까지 마무리한후의 내용과 비교해 보기바란다.
2. 추가할 HDD를 HDD확장슬랏에 장착한다.
일반적으로 핫스왓방식이 지원되는 시스템이라면, 장착과 동시에 운영체제에서 인식이 바로된다.
하지만, 여기서는 설명을 하기위해 핫스왓방식이 지원되지않은 경우로 가정하겠다.
서버용도로 사용하는 거의 모든 HDD는 스카시(SCSI)방식일 것이다.
정식으로 서비스하기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서버라면 SCSI방식을 사용해야한다.
물론, IDE방식도 가능하지만, 1년 365일 쉬지않고 돌아가는 서버의 안정성을 위해
반드시 SCSI방식의 HDD를 사용토록 해야한다.
3. 새로운 HDD를 장착한 후에 서버를 재부팅한다.
재부팅시에 메시지를 자세히 살펴보면 새로운 HDD에 관련된 메시지를 볼수가 있다.
4. 재부팅이 끝나고 나면 dmesg란 명령어를 사용하여 장착된 SCSI HDD의 정보를 확인한다.
dmesg는 텍스트파일로 재부팅될때마다 새로 생성이 되며 위치는 /var/log/dmesg에 있다.
명령어의 위치는 리눅스의 경우 대부분 /bin/dmesg이다.
자, 다음과 같이 dmesg란 명령어를 입력하여 새로추가된 HDD의 SCSI ID를 확인토록한다.
추가로 하드디스크를 장착하였기 때문에 sda외에 sdb라는 하드디스크를 커널이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제 이 sdb라는 추가 하드디스크를 사용키위해 파일시스템을 만들고 fdisk를 하여 파티션생성후에 마운트를 시켜 이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도록 할 것이다.
5. SCSI ID를 확인했다면 이제 fdisk를 실행시켜 파티션을 생성해 줘야한다.
위에서 확인한 추가 하드디스크의 SCSI ID는 /dev/sdb이다.
따라서 이 SCSI ID를 사용키위해 먼저 fdisk로 파티션을 생성하여야한다.
아래예와 같이 fdisk라는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티션생성작업을 하여보자.
파티션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fdisk 실행후에 실린더번호를 정확히 입력하고
사용코자하는 용도대로 설정하면 된다.
참고 : fdisk 명령어
a toggle a bootable flag
b edit bsd disklabel
c toggle the dos compatibility flag
d delete a partition
l list known partition types
m print this menu
n add a new partition
o create a new empty DOS partition table
p print the partition table
q quit without saving changes
s create a new empty Sun disklabel
t change a partition's system id
u change display/entry units
v verify the partition table
w write table to disk and exit
x extra functionality (experts only)
p라는 fdisk 명령어는 현재 파티션정보를 보고자함이다.
만약 새로운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려면 아래의 예와 같이 n이라는 fdisk명령어를 이용하여 사용할 파티션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6. 작성된 파티션을 사용키위해 파일시스템을 생성한다.
mke2fs /dev/sdb
이제 생성된 파티션을 사용키위해 mke2fs라는 리눅스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시스템을 생성한다.
"mke2fs 생성할 파일시스템명"으로 입력해주면 아래의 예와같이 파일시스템을 생성하여 준다.
mke2fs라는 명령어의결과 생성되는 파일시스템결과에서 알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Block size 크기
. Fragment size 크기
. inode의 수
. 수퍼유저가 사용할 block의 수(전체 block의 5%를 차지함)
. 첫 번째 데이터블럭
. Block group의 수
. 그룹당 블록수
. 그룹당 fragment의 수
. 그룹당 inode의 수
물론 위의 정보들을 처음접하게 되는 분들이라면 뭐가뭔지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파일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려면 위의 정보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정확히 알아야할 필요성은 있다.
물론, 단순히 하드디스크를 추가장착하는 것만이 목적이라면 위의 정보에 대한 의미를 구체적으로 몰라도 관계는 없다.
필자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진정한 서버관리자, 즉 진정한 수퍼유저라고 한다면 이런 메시지뿐아니라 모니터에서 흐르는 모든 메시지들을 좀더 정확히 분석하고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7. 준비된 파티션을 마운트를 시키기 위해 디렉토리를 작성하고 마운트를 시킨다.
mkdir /home2
mount -t ext2 /dev/sdb /home2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파일시스템은 ext2라는 파일시스템이며, 생성한 home2라는 디렉토리와
물리적인 파티션인 /dev/sdb를 마운트시키면 이제부터는 기존에 있던 디렉토리처럼 마음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8. 부팅시 자동마운트되게 하기위한 파일시스템테이블 수정
지금까지 한 작업은 일시적으로 사용할수는 있지만, 부팅시마다 적용하기 위해서는
부팅시 자동마운트되는 파일시스템테이블(/etc/fstab) 수정을 해야한다.
위의 예와 같이 작업된 후에는 시스템재부팅시에도 마운트할 필요없이 그대로 사용할수 있다.
기존의 내용과 다른점은 맨 마지막줄에 /dev/sdb가 /home2에 마운트되게끔 설정이 추가되었다는 것이다.
9. 파일시스템 생성 최종확인
이제 df -k로 파일시스템정보를 다시 확인한 것이다.
추가작업하기 전의 내용과 달라진 부분을 확인해 보기바란다.
즉, 맨 마지막 줄의 /dev/sdb라는 파일시스템이 생성되어 /home2라는 디렉토리에 마운트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제 마지막 확인을 하기위해 "mount"라는 명령어로 현재 마운트된 정보를 확인해본 것이다.
추가하기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dev/sdb라는 파일시스템이 /home2에 마운트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리눅스 퍼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32bit 와 64bit 구분 (0) | 2010.03.29 |
---|---|
rpm 명령어 자세한 옵션 (2) | 2008.11.11 |
mplayer 설치하기 (0) | 2008.09.09 |
시스템관리툴킷 : 로그파일 이해하기 (0) | 2008.06.04 |
[펌글] DHCP 란? (0) | 2007.11.22 |
[펌글] VNC 서버 (1) | 2007.11.22 |
1 장 : DHCP란? |
![]() |
일반 가정에서 한국통신의 ADSL 이나 두루넷과 같은 전용회선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거의 모두 이러한 DHCP를 사용하여 IP를 할당 받고 인터넷을 사용합니다. 이번 주 테마에서는 자신의 리눅스박스에
DHCP 서버를 설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네트워크에 있는 클라이언트들의 IP를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제한된 IP주소를
가지고 보다 많은 컴퓨터들이 인터넷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
4 장 : DHCP Client 설정하기 | |||
![]() | |||
이제 DHCP 서버를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의 설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와 리눅스의 경우 각각 방법은 틀리지만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5. DHCP Client 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ifconfig 명령어를 입력해 봅니다. | |||
![]() | |||
| |||
![]() | |||
| |||
![]() | |||
| |||
![]() | |||
|
'리눅스 퍼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32bit 와 64bit 구분 (0) | 2010.03.29 |
---|---|
rpm 명령어 자세한 옵션 (2) | 2008.11.11 |
mplayer 설치하기 (0) | 2008.09.09 |
시스템관리툴킷 : 로그파일 이해하기 (0) | 2008.06.04 |
[펌글] 리눅스 하드 관리하기 (0) | 2007.11.22 |
[펌글] VNC 서버 (1) | 2007.11.22 |
1. VNC server 구축하기
우선 vnc를 구성하기 위한 rpm 두개가 필요하다
하나는 서버, 하나는 클라이언트.
vnc-server.rpm
vnc.rpm
rpm명령을 이용하여 위 두개의 파일을 설치하고 vnc서버를 시작하자
#service vncserver restart
서버 상태를 확인하자
#service vncserver status
vnc설정 파일
/etc/sysconfig/vncservers
VNCSERVERS="1:root"
VNCSERVERS[1]="-geometry 800x600"
설정파일 내용
위의 1:root 부분에서 1은 디스플레이 번호를 의미하며 root는 계정명을 나타낸다.
VNCSERVERS[1]="-geometry
800x600"은 1번 디스플레이 번호에 대한 해상도를 설정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많아서 디스플레이 번호가 2, 3, 4식으로
증가하면 ‘[‘와 ‘]‘사이의 숫자를 변경하여 설정하면 된다.
처음에 vnc서버를 시작하면 서버가 작동이 안되는데 그 이유는 vnc서버 사용자 root가 암호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암호를 만들기 위해서 다음의 과정을 따라하자
#cd ~
#mkdir .vnc
#cd .vnc
#vncpasswd ‘패스워드입력’
이제 다시 vnc서비스를 재시작하자
그러면 /root/.vnc 디렉토리 밑에 xstartup파일이 생성될 것이다
[tip1] 이제 밑의 vnc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vnc서버에 접속을 하면은 xwindow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윈도우
매니저를 사용한다면 해당하는 윈도우 매니저가 안나오고 기본적인 twm이 시작할 것이다.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윈도우 매니저가
나타나기를 원할 경우에는 $HOME/.vnc/xstartup 파일에서
#unset SESSION_MANAGER
#exec /etc/X11/xinit/xinitrc
부분의 ‘#’을 지워서 주석을 제거해준다.
[tip2] 루트는 vnc사용자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etc/sysconfig/vncserver 파일을 설정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vnc디렉토리를 만들고 vncpasswd 명령으로 passwd파일을 만들어야 한다.
ex) /etc/sysconfig/vncserver
VNCSERVERS="1:root 2:test 3:test2"
VNCSERVERS[1]="-geometry 800x600"
VNCSERVERS[2]="-geometry 800x600"
VNCSERVERS[3]="-geometry 800x600"
ex)일반 사용자들의 홈디렉토리에서 패스워드 설정하는 방법
$cd ~
$mkdir .vnc
$cd .vnc
$vncpasswd
Password: 패스워드 입력(6자 이상)
Verify: 패스워드 입력 확인
위의 과정에서 $HOME/.vnc 디렉토리에 passwd파일이 만들어진다.
$ls $HOME/.vnc/
passwd
2. VNC 클라이언트 사용하기
#vncviewer ip-address:디스플레이번호
#vncviewer 211.250.1.2:1
윈도우용 vnc서버, 클라이언트는 www.tightvnc.com에 가면 다운로드 메뉴에서 찾을 수 있다.
윈도우 explorer에서 vncserver에 접속하는 방법
http://ip-address:5800+display-number
ex)http://191.111.1.1:5801 <-1번 디스플레이번호를 쓰는 루트의 접속
written by o-gyun jeong 595912@hanmail.net
'리눅스 퍼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32bit 와 64bit 구분 (0) | 2010.03.29 |
---|---|
rpm 명령어 자세한 옵션 (2) | 2008.11.11 |
mplayer 설치하기 (0) | 2008.09.09 |
시스템관리툴킷 : 로그파일 이해하기 (0) | 2008.06.04 |
[펌글] 리눅스 하드 관리하기 (0) | 2007.11.22 |
[펌글] DHCP 란? (0) | 2007.11.22 |
df - 디스크의 남은 공간을 보여준다.
SYNOPSIS
df [-aikPv] [-t fstype] [-x fstype] [--all] [--inodes] [--type=fstype]
[--exclude-type=fstype] [--kilobytes] [--portability] [--print-type]
[--help] [--version] [filename...]
DESCRIPTION
이 문서는 더이상 최신 정보를 담고 있지않다. 그래서, 몇몇틀릴 경우도
있고, 부족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완전한매뉴얼을 원하면, Texinfo 문
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이 매뉴얼 페이지는 df 명령의 GNU 버전에 대한 것이다. df 명령은 지정
한 filename이 있는 파일 시스템의 사용가능한디스크 공간 정보를 보여준다.
아무런 filename 인자가 없으면, 현재 시스템에서사용하는 모든 파일 시스템
의 사용가능한 디스크 공간 정보를 보여준다. 나타나는 숫자들의 기본 단위
는 1KB이다. 물론이 단위는 POSIXLY_CORRECT 환경 변수의 설정으로 512Byte
로 바꿀 수 있다.
만일 filename 인자로 디스크 장치 이름이 절대 경 로 형 식 으 로 ( 예,
/dev/hda1) 주어지면, 그 해당 디스크의 사용가능한 디스크 공간을보여준다.
이 버전에서는 마운트(mount(8))되지 않은 파일 시스템에 대해서는그 공 간
정 보를 보여지 못한다. 이런 이유는 각각의 파일 시스템 구조에대한 정보들
을 확실하게 알아야하는데, 마운트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이런 정보들을 알기
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OPTIONS
-a, --all
파 일 시스템의 크기가 0인 것도 모두 보여준다. 초기값은 제외 시킨
다. 이런 파일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자동 마운트관련, 특별 구 성,
pseudo-filesystems 이 다. 어 떤 시스템에서는 ‘‘ignore’’, 또는
‘‘auto’’ 형태의 파일 시스템이 초기값으로 생략되는 경우가 있 다.
이때 이옵션을 사용한다.
-i, --inodes
블럭 사용 정보 대신에 inode 사용정보를 보여준다. inode란 특별한
종류의 디스크 블럭인데, 이것은 파일이름, 소유주, 권한, 시간 정
보, 디스크에서의 위치등에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k, --kilobytes
보여주는 숫자들의 단위를 512 바이트 블럭 단위 대신 1KB 단위로 보
여준다. 이 옵션은 POSIXLY_CORRECT 환경 변수를 무시한다.
-P, --portability
POSIX에서 사용되는 형태로 보여준다. 이 옵션은 한 줄에 하나의 파
일 시스템 정보만 보여주다는 것을 제외하고는기본 출력 양식과 같
다. 한 마운트 장치는 그 줄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 말은 만약 마운
트 장치 이름이 20 문자 이상이면,(원격 마운트파일 시스템일 경우는
그렇다) 줄이 나뉘어 지는데, 이런 경우는 생략되거나축약된다.
-T, --print-type
각 파일시스템의 형태를 보여준다. 특정 파일시스템의 정보만을 원
할 경우에는 --type= 또는 --exclude-type= 옵션을 사용한다.
-t, --type=fstype
fstype 값을 가진 파일시스템만 보여준다. 초기값은 모든 파일 시스
템을 보여준다.
-x, --exclude-type=fstype
fstype 값을 가진 파일시스템만 빼고 나머지 모든 파일 시스템 정 보
를 보여준다.
-v 무시: System V 용 df와 호환을 위해서 있는 옵션.
사용법: df [OPTION]... [FILE]...
각각의 FILE이 있는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합니다.
기본값은 모든 파일시스템입니다.
-a, --all include filesystems having 0 blocks
-a, --all 0블럭을 가진 파일시스템도 출력에 포함합니다
--block-size=SIZE use SIZE-byte blocks
--block-size=SIZE SIZE 바이트 크기의 블럭을 사용합니다
-h, --human-readable print sizes in human readable format (e.g., 1K 234M 2G)
-h, --human-readable 크기를 사람이 알기 쉽게(1K, 234M, 2G등)표시합니다
-H, --si likewise, but use powers of 1000 not 1024
-H, --si 비슷합니다만 1024배 대신 1000배를 사용합니다
-l, --local limit listing to local filesystems
-i, --inodes 블럭 사용 대신 inode정보를 표시합니다
-k, --kilobytes like --block-size=1024
-k, --kilobytes --block-size=1024와 같습니다
-l, --local limit listing to local filesystems
-l, --local 지역 파일시스템만 나열합니다
-m, --megabytes like --block-size=1048576
-m, --megabytes --block-size=1048576과 같습니다
--no-sync do not invoke sync before getting usage info (default)
--no-sync 사용정보를 얻기 전에 sync를 부르지 않습니다(기본값)
-P, --portability use the POSIX output format
-P, --portability POSIX사양으로 출력합니다
--sync invoke sync before getting usage info
--sync 사용정보를 얻기 전에 sync를 부릅니다
-t, --type=TYPE limit listing to filesystems of type TYPE
-t, --type=TYPE TYPE형태의 파일시스템에 대한 정보만 표시합니다
-T, --print-type print filesystem type
-T, --print-type 파일시스템 형태를 출력합니다
-x, --exclude-type=TYPE limit listing to filesystems not of type TYPE
-x, --exclude-type=TYPE TYPE형태가 아닌 파일시스템 정보만 표시합니다
-v (ignored)
-v (무시합니다)
--help display this help and exit
--help 이 도움말을 표시하고 종료합니다
--version output version information and exit
--version 버전 정보를 표시하고 종료합니다
추천하는 사용방법
이것은 h 옵션을 사용하는 것으로 human 즉 사람이 읽기편하게 용량을 Mega 또는 Giga 단위로 바꿔서 표현해준다.
inode 로 바꿔서 나타내준다.
'내가쓰는리눅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쓸데없는 파일 용량 줄이기 (0) | 2008.05.15 |
---|---|
12. 리눅스에 대한 좋은 링크 (2) | 2008.05.09 |
11. 파일 개수 세기 (3) | 2008.05.07 |
10. 시간 동기화 rdate 와 다른 NTP (6) | 2008.04.21 |
[리눅스 다운받는 곳] (1) | 2008.03.05 |
8. 리눅스 명령어 find 와 옵션 (12) | 2007.10.15 |
7. 리눅스의 시간 date 와 hwclock (0) | 2007.09.04 |
6. vsftp 유용한 옵션 (0) | 2007.07.13 |
5. cron 과 그 활용법 (0) | 2007.07.12 |
4. 리눅스 du 와 df (2) | 2007.07.11 |
셔츠/재킷 : 등판이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편다.
또 다른 셔츠나 재킷을 반대방향으로 올려 놓는다.
바지를 펴서 올린다. (바지 한장을 더 올릴 경우에는 반대방향으로 놓는다)
중앙에 두꺼운 종이나 플라스틱 심지를 놓는다. (양말, 속옷 등이 들어 있는 작은 파우치를 활용해도 좋다)
심지 주위에 바지를 둘러싼다.
셔츠를 싼다.(소매를 먼저 싼 다음 몸통을 싼다)
마지막 셔츠/재킷을 싼다.(꾸러미와 분리되어 있는 스트랩과 함께 수트케이스 안에 넣는다. 수트케이스 안에 스트랩이 있을 경우에는 그대로 활용하고 없을 경우에는 벨트나 기타 끈을 이용한다.)
스트랩을 연결해 고정시킨다.
'EnjoyYour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속 스캔들 (0) | 2008.12.23 |
---|---|
구글 크롬 잠시 써본 느낌 ? (1) | 2008.09.11 |
가고 싶다 제주도 ㅋ (6) | 2008.07.08 |
PC 견적 비교 ( 보통 or 하이엔드) (7) | 2008.06.26 |
2008년5월19일 컴터견적 (9) | 2008.05.19 |
시간은 돈 ! ㅋ (0) | 2007.10.18 |
멀티 전원 플러그 (0) | 2007.08.20 |
운동화끈 안 풀리게 묶는 법 (1) | 2007.07.31 |
7월19일자 데스크탑 견적 (2) | 2007.07.19 |
7월18일자 데스크탑 견적 (2) | 2007.07.18 |
'EnjoyYour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크롬 잠시 써본 느낌 ? (1) | 2008.09.11 |
---|---|
가고 싶다 제주도 ㅋ (6) | 2008.07.08 |
PC 견적 비교 ( 보통 or 하이엔드) (7) | 2008.06.26 |
2008년5월19일 컴터견적 (9) | 2008.05.19 |
옷을 따로 다릴 필요없는 짐싸기. ㅋ (0) | 2007.10.18 |
멀티 전원 플러그 (0) | 2007.08.20 |
운동화끈 안 풀리게 묶는 법 (1) | 2007.07.31 |
7월19일자 데스크탑 견적 (2) | 2007.07.19 |
7월18일자 데스크탑 견적 (2) | 2007.07.18 |
최근 근황 (2) | 2007.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