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퍼옴'에 해당되는 글 7건
- 2010.03.29 리눅스 32bit 와 64bit 구분
- 2008.11.11 rpm 명령어 자세한 옵션 2
- 2008.09.09 mplayer 설치하기
- 2008.06.04 시스템관리툴킷 : 로그파일 이해하기
- 2007.11.22 [펌글] 리눅스 하드 관리하기
- 2007.11.22 [펌글] DHCP 란?
- 2007.11.22 [펌글] VNC 서버 1
리눅스 32bit 와 64bit 구분

32
2. 시스템이 64bit 인 경우 아래와 같이 b4 라고 나옴
b4
※ 참고 : 시스템에 대한 정보
cat /etc/issue
uname -a
cat /etc/redhat-release
CentOS release 5.3 (Final)
Kernel \r on an \m
[root@localhost ~]# cat /etc/redhat-release
CentOS release 5.3 (Final)
[root@localhost ~]#
[root@localhost ~]# uname -a
Linux localhost 2.6.18-128.el5 #1 SMP Wed Jan 21 10:44:23 EST 2009 i686 i686 i386 GNU/Linux
솔라리스에서의 32bit 및 64bit 동작 구분
isainfo -kv
64-bit sparcv9 kernel modules
'리눅스 퍼옴'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m 명령어 자세한 옵션 (2) | 2008.11.11 |
---|---|
mplayer 설치하기 (0) | 2008.09.09 |
시스템관리툴킷 : 로그파일 이해하기 (0) | 2008.06.04 |
[펌글] 리눅스 하드 관리하기 (0) | 2007.11.22 |
[펌글] DHCP 란? (0) | 2007.11.22 |
[펌글] VNC 서버 (1) | 2007.11.22 |
일 단 리눅스를 설치해 놨는데, 보안이나 기타 이유로 패키지를 안쓰거나, 제거 하거나, 또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버젼업된 패키지를 설치 해야 할때 싶은데 어떻게 해야하는지 모른다면 레드햇계열 리눅스의 사용은 미궁에 빠져 버리게 됩니다. 따라서 패키지의 설치와 관리를 하는 rpm 명령어의 숙지와 사용은 레드햇 계열에서는 필수라고 할수 있습니다.
rpm 명령어는 어떤 패키지를 설치하고, 어떤 패키지에 어떤 프로그램들이 들어있나 확인을 하고, 시스템 프로램들이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가 추적하고 최적화 하는 방법을 알 수 있게 해 줍니다.
# rpm 명령어와 함께 # find 명령어, # ps -aux | grep , # file 명령어를 이용해서 시스템 전체의 설치된 패키지를 조회하고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 # 은 리눅스 쉘(root) 프롬프트 입니다. // **. 은 주석처리로 설명 부분 입니다. )
=========================================================================================
1. rpm 설치하기
1) 설치하기
-U 옵션 : 기존의 것을 삭제하고 업그레이드하며 아무 메시지도 보여주지 않습니다.
-Uv 옵션 : 기존의 것을 삭제하고 업그레이드하며 패키지 이름을 보여 줍니다.
-Uvh 옵션 : 기존의 것을 삭제하고 업그레이드하며 그 설치 진행과 과정 # 표시로 자세히 보여줍니다.
// **. 보통 (ivh 보다) -Uvh 옵션을 쓰면 됩니다.
// **. 설치할경우 패키지파일전체 이름을 주고, 삭제/조회는 rpm 버젼 번호까지만 주면 됩니다.
mrtg 패키지전체 이름 : mrtg-2.9.17.i386.rpm // **. i386 은 386 CPU 호환 버젼을 말합니다.
mrtg 패키지 버젼 : mrtg-2.9.17
예)
# rpm -U mrtg-2.9.17.i386.rpm
# rpm -Uv mrtg-2.9.17.i386.rpm
# rpm -Uvh mrtg-2.9.17.i386.rpm
부가 옵션들
--nodeps : 의존성관계에 있는 다른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해도 강제 설치 합니다.
--force : 버전을 무시하고 강제로 설치 합니다. ( rpm 버전을 강제로 다운 그레이드 할때 사용합니다. )
예)
# rpm -Uvh mrtg-2.9.17.i386.rpm --nodeps
-- force --nodeps 사용시 다른 패키지에 문제가 없는가를 주의 해야 합니다.
# rpm -Uvh mrtg-2.9.17.i386.rpm --force --nodeps
2) -i 옵션 : 기존의 것을 삭제하고 처음 설치합니다.
예) # rpm -i mrtg-2.9.17.i386.rpm
=========================================================================================
2. rpm 지우기
-evv 옵션 : 아래와 같이 삭제를 하는 동안에 상세한 설명을 보여줍니다.
예)
# rpm -evv mrtg-2.9.17
부가 옵션들
--test : 실제로 삭제를 하지 않고 잘지워지는가 테스트만 해보는 옵션 입니다.
--nodeps : 의존성에 관여하지 않고 지우는 옵션입니다. // **. 의존성 있는 패키지가 안돌아 갈 수 있습니다. 주의를 요하는 옵션 입니다.
-- allmatches 옵션 : rpm 이 아래와 같이 중복으로 설치 되어 있을 경우 해결 방법
# rpm -qa | grep tux // **. 중복으로 설치 되었 습니다.
tux-2.1.0-2
tux-2.1.0-2
# rpm -e tux // **. 삭제가 안됩니다.
error: "tux" specifies multiple packages
# rpm -e tux --allmatches // **. --allmatches 옵션으로 지웁니다.
--noscript 옵션 : rpm 이 스크립트 에러 인하여 지워지지 않을 경우조 지웁니다.
# rpm -e canna --noscripts // **. --noscripts 옵션으로 지웁니다.
=========================================================================================
rpm 조회하기 부분은 옵션이 가장 많고, 가장 많이 사용 하는 부분 입니다.
3. rpm 조회하기
1) -qa 옵션 조회
-qa : 설치 되어 있는 모든 패키지를 알아 봅니다. // **. 좌악 올라 갑니다.
-qa | grep : 질의한 패키지가 설치 되어 있는지 알아본다 // **. 가장 많이 사용 합니다.
-qa | grep -i : 질의한 패키지를 찾을 때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물어 봅니다. // **. 대소문자 구별 안하고 찾아주므로 이 옵션 사용이 편합니다. 대부분 패키지는 소문자 이기는 하지만 가끔은 대문자가 있습니다.
-qa | wc -l : 현재 설치 되어 있는 총패키지 수
예 )
# rpm -qa // **.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보여 줍니다.
# rpm -qa | grep canna // **.canna란 이름의 패키지가 설치 되어 있는지 알아 봅니다.
# rpm -qa | grep -i canna // **. 대 소문자를 구별하지 않고 알아 봅니다.
# rpm -qa | wc -l // **. 시스템에 설치된 총 패키지 수를 알아 봅니다. 보통 몇백 단위 입니다.
2) rpm에 대한 다른 조회
-qf : 화일로 패키지 알아내기. 설치 되어 있는 화일이 어느 패키지에 속해 있는지 알아봅니다.
-qi : 패키지 정보 알아보기. 패키지에 대한 설명을 보여줍니다.
-ql : 패키지 목록 알아 봅니다.
-qc : /etc/ 밑에 설치 되는 설정 화일만 알아 본니다.
예)
# rpm -qf /bin/ls // **. ls 란 명령어가 어느 패키지에 속해 있는지 알아 봅니다.
# rpm -qf $(which 특정프로그램이름) // **. 경로를 잘 모를 경우 사용 합니다.
ex) rpm -qf $(which ls)
# rpm -qi setup // **. setup 이란 패키지가 어떤 패키지 인가 알아 봅니다.
# rpm -ql setup
# rpm -qc setup
=========================================================================================
4. -q 의 부가 옵션들
1) -q --requires : 패키지가 필요한 모듈 (의존성)
예) # rpm -q --requires setup // **. dump 라는 패키지가 설치되기전에 먼저 설치가 선행되어야 하는 패키지들 입니다. 없으면 설치가 안됩니다.
2) -q --whatrequires : 의존성 걸린 패키지 알아내기
예) # rpm -q --whatrequires xmms // **. xmms에 의존하는 패키지를 보여 줍니다. 함부로 지우면 의존설 걸린 패키지들은 안돌가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q --whatprovides module-info : 모듈이 설치 되어 있는 패키지 알아 봅니다.
예) # rpm -q --whatprovides module-info
4) -q --scripts : 패키지가 설치 되기전 또는 설치 된후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알아 봅니다.
5) -q --queryformat : 패키지의 정보를 알아볼때 문자열을 출력해준다.
5. 기타 확장 옵션들
1) -qlv : 패키지 목록 자세한 정보를 알아 봅니다.
예 ) # rpm -qlv setup
2) -ql --dump : 패키지 덤프 화일을 봅니다.
3) -qcf : 화일과 관련된 설정 화일을 알아봅니다. .
4) -qdf : 패키지와 관련된 문서 화일을 보는 옵션 입니다. // **. 패키지 괸련한 문서는 대부분 /usr/share/doc 아래에 있습니다.
예) # rpm -qdf /sbin/dump
5) -qpil : 원하는 패키지로 부터 패키지 정보와 설치되는 곳의 정보를 알아 봅니다.
// **. qi옵션과 ql 옵션의 합침형 입니다.
예) # rpm -qpil mrtg-2.9.17.i386.rpm
6) --querytags : 문자열 출력시에 사용되는 태그 값을 알아 본다.
예) # rpm --querytags
HEADERIMAGE
HEADERSIGNATURES
HEADERIMMUTABLE
.
7) # rpm -qlp // **. RPM 으로 설치 안되었을때 검색 합니다.
[출처] Linux RPM 명령어|작성자 bagano
'리눅스 퍼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32bit 와 64bit 구분 (0) | 2010.03.29 |
---|---|
mplayer 설치하기 (0) | 2008.09.09 |
시스템관리툴킷 : 로그파일 이해하기 (0) | 2008.06.04 |
[펌글] 리눅스 하드 관리하기 (0) | 2007.11.22 |
[펌글] DHCP 란? (0) | 2007.11.22 |
[펌글] VNC 서버 (1) | 2007.11.22 |
http://jsmall.tistory.com/115
고급 버전
http://www.digimoon.net/blog/86
일주일간 삽질 끝에 저만의 메뉴 및 subfont.ttf의 에러 발생원인을 알아냈습니다. 다음과 같이 설치하면 나타나질 않습니다.
-. 반드시 콘설에서 설치한다. 엑스에서 설치할경우 실행시 오른쪽 마우스의 메뉴들이 모두 깨진다.
1) /usr/ports/multimedia/mplayer make install clean
2) ko-mplayer-fonts 설치
포츠의 korean에서 설치 . 없으면 pkg_add -r 로 설치.
3) #mkdir $HOME/.mplayer
#cd $/.mplayer 이동후 config 만들고 unicode=1 추가
3)에 관련된 상항은 2)의 폰트 설치시 마지막에 메세지로 출력됩니다.
4) ln -s /usr/local/share/mplayer/fonts/korean/{fonts}
/home/자신계정/.mplayer/font
5) cp /usr/local/share/mplayer/example.conf /home/자신계정/.mplayer/mplayer.conf
6) cp /usr/local/share/mplayer/codecs.conf /home/자신계정/.mplayer/
4), 5), 6) 반드시 절대경로 명시!!
7) 스킨설치 (default는 Blue입니다.
8) gmplayer -skin 스킨디렉토리명(대소문자구별) 파일명.확장자
위와같이 하면 에러없이 설치되고 메뉴가 깨진는 현상, subfont.ttf의 에러 등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xmms, mplayer, gimp 등의 경우 gtk1.2를 사용하지만 그넘 2.6 환경에서 테마의 gtk에 코리안이 명시되어 있으므로 굳이 홈디렉토리에 .gtkrc.mine 파일을 만들 필요는 없으며, 이것이 기타 리눅스와 프비의 차이점인듯 싶습니다.
'리눅스 퍼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32bit 와 64bit 구분 (0) | 2010.03.29 |
---|---|
rpm 명령어 자세한 옵션 (2) | 2008.11.11 |
시스템관리툴킷 : 로그파일 이해하기 (0) | 2008.06.04 |
[펌글] 리눅스 하드 관리하기 (0) | 2007.11.22 |
[펌글] DHCP 란? (0) | 2007.11.22 |
[펌글] VNC 서버 (1) | 2007.11.22 |
'리눅스 퍼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32bit 와 64bit 구분 (0) | 2010.03.29 |
---|---|
rpm 명령어 자세한 옵션 (2) | 2008.11.11 |
mplayer 설치하기 (0) | 2008.09.09 |
[펌글] 리눅스 하드 관리하기 (0) | 2007.11.22 |
[펌글] DHCP 란? (0) | 2007.11.22 |
[펌글] VNC 서버 (1) | 2007.11.22 |
이 글은 슈퍼유저코리아(superuser.co.kr)에서 퍼왔습니다. 리눅스 서버운영을 시작하면서 궁금한 점이 너무 많고 하나하나 배워가는 입장이라서 어디 모아둘만한 공간이 필요해서 퍼온 것 입니다.
강 좌 목 표 -강좌버전 1.5-
SCSI하드드시크 하나를 사용중 추가로 SCSI하드디스크하나를 더 장착하여 커널에 인식시킨후에 파일시스템을 만들고 만든 파일시스템을 포맷하여 마운트시킬 디렉토리를 만든다음 이 디렉토리에 생성된 파일시스템을 마운트시키는 작업. 그리고 이 작업이 끝난후에 부팅시 자동마운트되도록 /etc/fstab에 설정추가한다.
1. 현재 사용중인 하드디스크 확인(추가전)
먼저, 현재 사용중인 하드디스크를 확인해 보도록 하자.
/etc/fstab이라는 파일은 리눅스부팅시에 자동으로 마운트시키기위한 "파일시스템테이블(file system table)"이다.
즉, 리눅스가 부팅이 되면서 이 파일을 참조하여 설정된 내용대로 마운트를 시켜 사용가능토록하는 것이다.
위의 /etc/fstab은 하드디스크가 추가되기전의 /etc/fstab 내용이다.
보시는 바와 같이 /dev/sda라는 하드디스크 하나만이 장착되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df -k"로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정보를 확인해본 것이다.
확인해 본 바와 같이 현재 사용중인 파일시스템은 sda의 하드디스크 하나를 몇 개의 파일시스템으로 나누어 사용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좀더 확실히 확인키위해 mount라는 명령어로 현재 리눅스서버에 마운트된 파일시스템이 어떤 것들이 있는가를 정확히 확인해 본 것이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sda라는 하드디스크를 몇 개의 파일시스템으로 나누어서 사용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그림3개에서 확인된 내용을 추가 하드디스크를 장착하여 파일시스템을 만들고 마운트까지 마무리한후의 내용과 비교해 보기바란다.
2. 추가할 HDD를 HDD확장슬랏에 장착한다.
일반적으로 핫스왓방식이 지원되는 시스템이라면, 장착과 동시에 운영체제에서 인식이 바로된다.
하지만, 여기서는 설명을 하기위해 핫스왓방식이 지원되지않은 경우로 가정하겠다.
서버용도로 사용하는 거의 모든 HDD는 스카시(SCSI)방식일 것이다.
정식으로 서비스하기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서버라면 SCSI방식을 사용해야한다.
물론, IDE방식도 가능하지만, 1년 365일 쉬지않고 돌아가는 서버의 안정성을 위해
반드시 SCSI방식의 HDD를 사용토록 해야한다.
3. 새로운 HDD를 장착한 후에 서버를 재부팅한다.
재부팅시에 메시지를 자세히 살펴보면 새로운 HDD에 관련된 메시지를 볼수가 있다.
4. 재부팅이 끝나고 나면 dmesg란 명령어를 사용하여 장착된 SCSI HDD의 정보를 확인한다.
dmesg는 텍스트파일로 재부팅될때마다 새로 생성이 되며 위치는 /var/log/dmesg에 있다.
명령어의 위치는 리눅스의 경우 대부분 /bin/dmesg이다.
자, 다음과 같이 dmesg란 명령어를 입력하여 새로추가된 HDD의 SCSI ID를 확인토록한다.
추가로 하드디스크를 장착하였기 때문에 sda외에 sdb라는 하드디스크를 커널이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제 이 sdb라는 추가 하드디스크를 사용키위해 파일시스템을 만들고 fdisk를 하여 파티션생성후에 마운트를 시켜 이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도록 할 것이다.
5. SCSI ID를 확인했다면 이제 fdisk를 실행시켜 파티션을 생성해 줘야한다.
위에서 확인한 추가 하드디스크의 SCSI ID는 /dev/sdb이다.
따라서 이 SCSI ID를 사용키위해 먼저 fdisk로 파티션을 생성하여야한다.
아래예와 같이 fdisk라는 명령어를 이용하여 파티션생성작업을 하여보자.
파티션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fdisk 실행후에 실린더번호를 정확히 입력하고
사용코자하는 용도대로 설정하면 된다.
참고 : fdisk 명령어
a toggle a bootable flag
b edit bsd disklabel
c toggle the dos compatibility flag
d delete a partition
l list known partition types
m print this menu
n add a new partition
o create a new empty DOS partition table
p print the partition table
q quit without saving changes
s create a new empty Sun disklabel
t change a partition's system id
u change display/entry units
v verify the partition table
w write table to disk and exit
x extra functionality (experts only)
p라는 fdisk 명령어는 현재 파티션정보를 보고자함이다.
만약 새로운 파일시스템을 생성하려면 아래의 예와 같이 n이라는 fdisk명령어를 이용하여 사용할 파티션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6. 작성된 파티션을 사용키위해 파일시스템을 생성한다.
mke2fs /dev/sdb
이제 생성된 파티션을 사용키위해 mke2fs라는 리눅스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시스템을 생성한다.
"mke2fs 생성할 파일시스템명"으로 입력해주면 아래의 예와같이 파일시스템을 생성하여 준다.
mke2fs라는 명령어의결과 생성되는 파일시스템결과에서 알 수 있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Block size 크기
. Fragment size 크기
. inode의 수
. 수퍼유저가 사용할 block의 수(전체 block의 5%를 차지함)
. 첫 번째 데이터블럭
. Block group의 수
. 그룹당 블록수
. 그룹당 fragment의 수
. 그룹당 inode의 수
물론 위의 정보들을 처음접하게 되는 분들이라면 뭐가뭔지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
하지만, 파일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려면 위의 정보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정확히 알아야할 필요성은 있다.
물론, 단순히 하드디스크를 추가장착하는 것만이 목적이라면 위의 정보에 대한 의미를 구체적으로 몰라도 관계는 없다.
필자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진정한 서버관리자, 즉 진정한 수퍼유저라고 한다면 이런 메시지뿐아니라 모니터에서 흐르는 모든 메시지들을 좀더 정확히 분석하고 이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7. 준비된 파티션을 마운트를 시키기 위해 디렉토리를 작성하고 마운트를 시킨다.
mkdir /home2
mount -t ext2 /dev/sdb /home2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파일시스템은 ext2라는 파일시스템이며, 생성한 home2라는 디렉토리와
물리적인 파티션인 /dev/sdb를 마운트시키면 이제부터는 기존에 있던 디렉토리처럼 마음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8. 부팅시 자동마운트되게 하기위한 파일시스템테이블 수정
지금까지 한 작업은 일시적으로 사용할수는 있지만, 부팅시마다 적용하기 위해서는
부팅시 자동마운트되는 파일시스템테이블(/etc/fstab) 수정을 해야한다.
위의 예와 같이 작업된 후에는 시스템재부팅시에도 마운트할 필요없이 그대로 사용할수 있다.
기존의 내용과 다른점은 맨 마지막줄에 /dev/sdb가 /home2에 마운트되게끔 설정이 추가되었다는 것이다.
9. 파일시스템 생성 최종확인
이제 df -k로 파일시스템정보를 다시 확인한 것이다.
추가작업하기 전의 내용과 달라진 부분을 확인해 보기바란다.
즉, 맨 마지막 줄의 /dev/sdb라는 파일시스템이 생성되어 /home2라는 디렉토리에 마운트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제 마지막 확인을 하기위해 "mount"라는 명령어로 현재 마운트된 정보를 확인해본 것이다.
추가하기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dev/sdb라는 파일시스템이 /home2에 마운트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리눅스 퍼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32bit 와 64bit 구분 (0) | 2010.03.29 |
---|---|
rpm 명령어 자세한 옵션 (2) | 2008.11.11 |
mplayer 설치하기 (0) | 2008.09.09 |
시스템관리툴킷 : 로그파일 이해하기 (0) | 2008.06.04 |
[펌글] DHCP 란? (0) | 2007.11.22 |
[펌글] VNC 서버 (1) | 2007.11.22 |
1 장 : DHCP란? |
![]() |
일반 가정에서 한국통신의 ADSL 이나 두루넷과 같은 전용회선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거의 모두 이러한 DHCP를 사용하여 IP를 할당 받고 인터넷을 사용합니다. 이번 주 테마에서는 자신의 리눅스박스에
DHCP 서버를 설치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네트워크에 있는 클라이언트들의 IP를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제한된 IP주소를
가지고 보다 많은 컴퓨터들이 인터넷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
4 장 : DHCP Client 설정하기 | |||
![]() | |||
이제 DHCP 서버를 사용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의 설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와 리눅스의 경우 각각 방법은 틀리지만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
![]() | |||
| |||
![]() | |||
| |||
![]() | |||
5. DHCP Client 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ifconfig 명령어를 입력해 봅니다. | |||
![]() | |||
| |||
![]() | |||
| |||
![]() | |||
| |||
![]() | |||
|
'리눅스 퍼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32bit 와 64bit 구분 (0) | 2010.03.29 |
---|---|
rpm 명령어 자세한 옵션 (2) | 2008.11.11 |
mplayer 설치하기 (0) | 2008.09.09 |
시스템관리툴킷 : 로그파일 이해하기 (0) | 2008.06.04 |
[펌글] 리눅스 하드 관리하기 (0) | 2007.11.22 |
[펌글] VNC 서버 (1) | 2007.11.22 |
1. VNC server 구축하기
우선 vnc를 구성하기 위한 rpm 두개가 필요하다
하나는 서버, 하나는 클라이언트.
vnc-server.rpm
vnc.rpm
rpm명령을 이용하여 위 두개의 파일을 설치하고 vnc서버를 시작하자
#service vncserver restart
서버 상태를 확인하자
#service vncserver status
vnc설정 파일
/etc/sysconfig/vncservers
VNCSERVERS="1:root"
VNCSERVERS[1]="-geometry 800x600"
설정파일 내용
위의 1:root 부분에서 1은 디스플레이 번호를 의미하며 root는 계정명을 나타낸다.
VNCSERVERS[1]="-geometry
800x600"은 1번 디스플레이 번호에 대한 해상도를 설정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많아서 디스플레이 번호가 2, 3, 4식으로
증가하면 ‘[‘와 ‘]‘사이의 숫자를 변경하여 설정하면 된다.
처음에 vnc서버를 시작하면 서버가 작동이 안되는데 그 이유는 vnc서버 사용자 root가 암호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암호를 만들기 위해서 다음의 과정을 따라하자
#cd ~
#mkdir .vnc
#cd .vnc
#vncpasswd ‘패스워드입력’
이제 다시 vnc서비스를 재시작하자
그러면 /root/.vnc 디렉토리 밑에 xstartup파일이 생성될 것이다
[tip1] 이제 밑의 vnc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vnc서버에 접속을 하면은 xwindow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윈도우
매니저를 사용한다면 해당하는 윈도우 매니저가 안나오고 기본적인 twm이 시작할 것이다.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윈도우 매니저가
나타나기를 원할 경우에는 $HOME/.vnc/xstartup 파일에서
#unset SESSION_MANAGER
#exec /etc/X11/xinit/xinitrc
부분의 ‘#’을 지워서 주석을 제거해준다.
[tip2] 루트는 vnc사용자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etc/sysconfig/vncserver 파일을 설정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vnc디렉토리를 만들고 vncpasswd 명령으로 passwd파일을 만들어야 한다.
ex) /etc/sysconfig/vncserver
VNCSERVERS="1:root 2:test 3:test2"
VNCSERVERS[1]="-geometry 800x600"
VNCSERVERS[2]="-geometry 800x600"
VNCSERVERS[3]="-geometry 800x600"
ex)일반 사용자들의 홈디렉토리에서 패스워드 설정하는 방법
$cd ~
$mkdir .vnc
$cd .vnc
$vncpasswd
Password: 패스워드 입력(6자 이상)
Verify: 패스워드 입력 확인
위의 과정에서 $HOME/.vnc 디렉토리에 passwd파일이 만들어진다.
$ls $HOME/.vnc/
passwd
2. VNC 클라이언트 사용하기
#vncviewer ip-address:디스플레이번호
#vncviewer 211.250.1.2:1
윈도우용 vnc서버, 클라이언트는 www.tightvnc.com에 가면 다운로드 메뉴에서 찾을 수 있다.
윈도우 explorer에서 vncserver에 접속하는 방법
http://ip-address:5800+display-number
ex)http://191.111.1.1:5801 <-1번 디스플레이번호를 쓰는 루트의 접속
written by o-gyun jeong 595912@hanmail.net
'리눅스 퍼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32bit 와 64bit 구분 (0) | 2010.03.29 |
---|---|
rpm 명령어 자세한 옵션 (2) | 2008.11.11 |
mplayer 설치하기 (0) | 2008.09.09 |
시스템관리툴킷 : 로그파일 이해하기 (0) | 2008.06.04 |
[펌글] 리눅스 하드 관리하기 (0) | 2007.11.22 |
[펌글] DHCP 란? (0) | 2007.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