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 해당되는 글 32건

  1. 2010.03.30 리눅스 dmesg 를 통한 eth 포트의 down / up 구분
  2. 2010.03.29 리눅스 32bit 와 64bit 구분
  3. 2009.11.24 27. CentOS 에서의 한글 설정 3
  4. 2009.11.23 26. ethtool 사용하기 speed 와 duplex 변경 6
  5. 2009.11.05 13. 파일 비교 스크립트 4 2
  6. 2009.09.19 11. SSH 접속 차단 스크립트 ( 5번 패스워드 틀리면 자동 차단) 2
  7. 2009.09.18 10. 파일비교 스크립트2 3
  8. 2009.09.10 8. 파일 내용 비교1 3
  9. 2009.01.30 22. lame : mp3 인코더
  10. 2008.07.03 18. CentOS 에서 Xmanager 를 위한 설정하기 2
  11. 2008.06.16 17. 명령어 모드에서 네트워크 설정 ifconfig 와 route 2
  12. 2008.06.04 시스템관리툴킷 : 로그파일 이해하기
  13. 2008.05.22 15. 삼바서버 설정하기 ( 초간단) 7
  14. 2008.05.15 13. 쓸데없는 파일 용량 줄이기
  15. 2008.05.09 12. 리눅스에 대한 좋은 링크 2
  16. 2008.04.21 10. 시간 동기화 rdate 와 다른 NTP 6
  17. 2008.03.05 [리눅스 다운받는 곳] 1
  18. 2007.11.20 9. 리눅스 df 명령어
  19. 2007.10.15 8. 리눅스 명령어 find 와 옵션 12
  20. 2007.09.04 7. 리눅스의 시간 date 와 hwclock
2010. 3. 30. 14:33

리눅스 dmesg 를 통한 eth 포트의 down / up 구분

리눅스 dmesg 를 통해서
서버에 연결된 랜포트들을 구분할 수 있다.

서버쪽의 랜포트를 뽑고 나면 eth 포트의 링크가 down 된게 되고
이것은 리눅스 서버에서 dmesg | grep eth 명령으로
맨 아래쪽에 업데이트가 된다.

즉 랜포트를 뽑고 서버에서 dmesg | grep eth 명령으로 확인하면
아래쪽에 링크 UP 과 DOWN 을 확인할 수 있다.

[root@mbuIVR1:~ ] dmesg | grep eth
divert: not allocating divert_blk for non-ethernet device lo
divert: allocating divert_blk for eth0
e1000: eth0: e1000_probe: Intel(R) PRO/1000 Network Connection
divert: allocating divert_blk for eth1
e1000: eth1: e1000_probe: Intel(R) PRO/1000 Network Connection
divert: allocating divert_blk for eth2
e1000: eth2: e1000_probe: Intel(R) PRO/1000 Network Connection
divert: allocating divert_blk for eth3
e1000: eth3: e1000_probe: Intel(R) PRO/1000 Network Connection
e1000: eth0: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Up 1000 Mbps Full Duplex
e1000: eth0: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Down
e1000: eth0: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Up 1000 Mbps Full Duplex
e1000: eth1: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Up 1000 Mbps Full Duplex
e1000: eth1: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Down
e1000: eth1: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Up 1000 Mbps Full Duplex
e1000: eth2: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Up 100 Mbps Half Duplex
e1000: eth2: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Down
e1000: eth2: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Up 100 Mbps Full Duplex
e1000: eth3: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Up 100 Mbps Half Duplex
e1000: eth3: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Down
e1000: eth3: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Up 100 Mbps Full Duplex
divert: not allocating divert_blk for non-ethernet device sit0
eth2: no IPv6 routers present
eth3: no IPv6 routers present
eth1: no IPv6 routers present
eth0: no IPv6 routers present
e1000: eth2: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Down
eth2: no IPv6 routers present
e1000: eth2: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Up 100 Mbps Full Duplex
e1000: eth2: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Down
eth2: no IPv6 routers present
e1000: eth2: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Up 100 Mbps Full Duplex
e1000: eth2: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Down
e1000: eth0: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Down
e1000: eth2: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Up 100 Mbps Full Duplex
eth2: no IPv6 routers present
eth0: no IPv6 routers present
e1000: eth1: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Down
e1000: eth0: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Up 1000 Mbps Full Duplex
eth1: no IPv6 routers present
e1000: eth1: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Up 1000 Mbps Full Duplex
e1000: eth3: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Down
eth3: no IPv6 routers present
e1000: eth3: e1000_watchdog_task: NIC Link is Up 100 Mbps Full Duplex
[root@mbuIVR1:~ ]

2010. 3. 29. 18:24

리눅스 32bit 와 64bit 구분

1. 시스템이 32bit 인 경우 아래와 같이 32 라고 나옴
[root@localhost ~]# getconf LONG_BIT
32


2. 시스템이 64bit 인 경우 아래와 같이 b4 라고 나옴
[root@localhost ~]# getconf LONG_BIT
b4


※ 참고 : 시스템에 대한 정보
cat /etc/issue
uname -a
cat /etc/redhat-release
[root@localhost ~]# cat /etc/issue
CentOS release 5.3 (Final)
Kernel \r on an \m

[root@localhost ~]# cat /etc/redhat-release
CentOS release 5.3 (Final)
[root@localhost ~]#
[root@localhost ~]# uname -a
Linux localhost 2.6.18-128.el5 #1 SMP Wed Jan 21 10:44:23 EST 2009 i686 i686 i386 GNU/Linux


솔라리스에서의 32bit 및 64bit 동작 구분

isainfo -kv
64-bit sparcv9 kernel modules 


 

'리눅스 퍼옴'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m 명령어 자세한 옵션  (2) 2008.11.11
mplayer 설치하기  (0) 2008.09.09
시스템관리툴킷 : 로그파일 이해하기  (0) 2008.06.04
[펌글] 리눅스 하드 관리하기  (0) 2007.11.22
[펌글] DHCP 란?  (0) 2007.11.22
[펌글] VNC 서버  (1) 2007.11.22
2009. 11. 24. 13:21

27. CentOS 에서의 한글 설정

일단 기본적으로 CentOS 를 설치하게 되면
기본 언어를 영어로 설정했다면 쉘 역시 영어로 설정이 된다.

이것을 아예 한글로 변경하거나 또는 로그인쉘에서만 따로 한글로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1. 시스템 전체의 언어를 한글로 변경

root 로 로그인 이후  /etc/sysconfig/i18n 파일을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
만약을 위해 다른 이름으로 백업을 해둔다음에 진행하자.

[root@localhost ~]# more /etc/sysconfig/i18n
LANG="en_US.UTF-8"
SYSFONT="latarcyrheb-sun16"
SUPPORTED="en_US.UTF-8:en_US.en:ko_KR.UTF-8:ko_KR.eucKR:ko_KR:ko"


2. 로그인쉘 상에서의 특정 유저만 한글로 표현 ( 나머지 유저는 영어로 그대로 )

일단 그 유저의 특정유저로 로그인하고 나서 hidden file ( 숨김파일은 파일이름 앞에 점하나가 붙는다 ) 인
.bash_profile 안에 다음과 같은 라인을 추가시킨다.
( 숨김파일의 리스트를 보기 위해서는 ls -al 로 확인한다 )

그러면 그 유저로 로그인했을 때는 터미널 상에서 한글이 제대로 표현된다.
파일명이 한글인 경우 잘 표현되는지 확인하면 되겠다.

export LANG=ko_KR.eucKR


3. 파일질라 ( Filezilla ) 로 접속시 한글이 보이지 않거나 깨지는 현상

사이트관리자에서 <문자셋> 탭에서
<사용자정의문자셋 사용>을 클릭하고
아래 칸에 CP949 로 설정을 하고 다시 접속하면 한글이 잘 보이게 된다.

참고 : 파일질라 다운받는 곳은 www.filezilla-project.org
2009. 11. 23. 00:17

26. ethtool 사용하기 speed 와 duplex 변경


ethtool 을 사용해서 네트워크 포트의 speed duplex autonego 를 조정할 수 있다.

[root@localhost ~]# ethtool eth1
Settings for eth1:
        Supported ports: [ TP MII ]
        Supported link modes:   10baseT/Half 10baseT/Full
                                100baseT/Half 100baseT/Full
        Supports auto-negotiation: Yes
        Advertised link modes:  10baseT/Half 10baseT/Full
                                100baseT/Half 100baseT/Full
        Advertised auto-negotiation: No
        Speed: 100Mb/s
        Duplex: Full
        Port: MII
        PHYAD: 32
        Transceiver: internal
        Auto-negotiation: off
        Supports Wake-on: pumbg
        Wake-on: d
        Current message level: 0x00000007 (7)
        Link detected: no

[root@localhost ~]# ethtool -s eth1 speed 10 duplex full autoneg on
[root@localhost ~]# ethtool eth1
Settings for eth1:
        Supported ports: [ TP MII ]
        Supported link modes:   10baseT/Half 10baseT/Full
                                100baseT/Half 100baseT/Full
        Supports auto-negotiation: Yes
        Advertised link modes:  10baseT/Full
        Advertised auto-negotiation: Yes
        Speed: 10Mb/s
        Duplex: Half
        Port: MII
        PHYAD: 32
        Transceiver: internal
        Auto-negotiation: on
        Supports Wake-on: pumbg
        Wake-on: d
        Current message level: 0x00000007 (7)
        Link detected: no

여기서 ethtool 은 해당되는 네트워크 포트가 리눅스 커널에서 어떻게 인식되어서 동작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위의 방법은 임시로 적용이 된 것이고 OS가 리부팅되면 다시 초기화되어버리므로

아예 /etc/sysconfig/network-scripts 밑에 있는 ifcfg-eth0 파일에 아래 라인을 넣어줘서 

OS가 리부팅되도 계속 적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DEVICE=eth0

BOOTPROTO=dhcp

ONBOOT=yes

TYPE=Ethernet

ETHTOOL_OPTS="speed 100 duplex full autoneg off"


ETHTOOL_OPTS 의 안의 필드를 보면
speed 뒤의 숫자는 100 이면 100M 를 지정하고
1000 이면 1000M 즉 1G 를 정해준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드라이버에 따라 저 옵션이 적용될 수도, 안 될 수도 있다.
그럴땐 mii-tool 이란 명령어로 되는지 확인 필요.

Duplex 값은 half 와 full 이 있는데 한국말로는 반이중 / 전이중 이런 어려운 용어가 있다.
하지만 Full 이 좋은 것은 당연지사.

마지막의 autoneg 는  auto-nego 를 스위치와 하지 않도록 off 한다는 의미이다.
보통 저렇게 리눅스 서버에서 자동협상 기능을 끈다면 스위치쪽에서도 동일한 speed 와 duplex 를 맞쳐서 사용하는 것이 정석이다.

저 서버에 연결된 상위의 스위치 ( 시스코이든 3COM 이든 ) 에서도 해당 포트에 static 으로 고정되게 speed 와 duplex 를 서버에 설정해준것과 동일하게 맞춰야 한다.


2009. 11. 5. 21:31

13. 파일 비교 스크립트 4

원본 파일(a.txt)에서  특정한 파일의 숫자들(b.txt) 을 뺀 나머지 라인들을 구하는 것

우선 원본 파일 변경되므로 원본파일은 다른 이름으로 변경시켜 놓는다.
#!/bin/bash
dir=$PWD
count=0
cp $dir/a.txt $dir/a.txt_org

for mdn in `cat $dir/b.txt | awk -F, '{print $1}'`
do
      sed -e "/"$mdn"/d" $dir/a.txt > $dir/imsy.txt
      cat $dir/imsy.txt > $dir/a.txt
      count=`expr $count + 1`
done
echo "count is =" $count

rm $dir/imsy.txt
작업할 디렉토리 지정
반복문이 몇번 실행되었는지 체크하기 위한 count 변수 지정
원본 a.txt 파일을 a.txt_org 으로 백업한다.

(2) for mdn in `cat /home/bjh/homepcssn/test/b.txt | awk -F, '{print $1}'`
for 반복문을 사용
mdn 이란 변수에 b.txt 파일에서 숫자가 있는 필드만 awk 로 골라내어서 for 문을 사용해 차례로 입력하도록 한다
( 나중에는 cat 부분만 변경해서 사용 / 숫자만 있는 파일이면 cat 만 써도 됨 )
awk 에서 -F 옵션은 구분자를 지정할때 사용 ( 지정하지 않으면 빈칸으로 필드 구분 )
즉 쉼표(,) 로 구분했을때 첫번째 필드가 숫자가 되기 때문에 사용
여기서 $mdn 이란 변수에는 숫자(전화번호) 만 들어간다

(3) sed -e "/"$mdn"/d" $dir/aa.txt > $dir/imsy.txt
변수 mdn이 포함된 라인만 지운 나머지 모든 라인을 임시파일 imsy.txt 파일에 저장한다.

(4) cat imsy.txt > a.txt
임시파일을 원본 a.txt 에 덮어쓴다
이때 첫번재 mdn 값을 제외한 모든 라인이 a.txt 에 덮어쓴다.

(5) count=`expr $count + 1`
반복문이 1번 반복될때마다 count 변수는 하나씩 증가한다.

(6) done
mdn 변수의 개수만큼 돌아가고 나서 반복문 종료

(7) echo "count is =" $count
반복문이 몇번 실행되었는지 확인
즉 mdn 변수가 몇번 변했는지도 알 수 있다.
즉 b.txt 에서 숫자가 몇라인이 들어있는지 알 수 있다

(8) rm $dir/imsy.txt
임시파일 삭제




최종 파일 비교 스크립트 -> http://darkrang.tistory.com/219


2009. 9. 19. 15:27

11. SSH 접속 차단 스크립트 ( 5번 패스워드 틀리면 자동 차단)

      1 #!/bin/bash
      2 days=`date +%d`
      3 savedir='/z_bjh/denylist'
      4 for i in $( cat /var/log/secure | grep "Failed password for" | awk '$2 = $days {print $13}' | sort | uniq -c | awk '$1 > 5 {print $2}'); do
      5 denyip=${i#::ffff:}
      6 echo "ALL:$denyip" >> $savedir
      7 done
      8 for a in $( cat /etc/hosts.deny | grep "ALL : " | awk '{print $3}' | sort | uniq -c | awk '{print $2}'); do
      9 echo "ALL : $a" >> $savedir
     10 done
     11 cp /etc/hosts.deny-before /etc/hosts.deny
     12 for b in $( cat $savedir | grep "ALL : " | awk '{print $3}' | sort | uniq -c | awk '{print $2}'); do
     13 echo "ALL : $b" >> /etc/hosts.deny
     14 done
     15 cat $savedir >> /etc/hosts.deny
     16 rm -f $savedir


일단 이 스크립트를 작성하기 전에 한가지ㄱㅏ 필요하다

/etc/hosts.deny 를  /etc/hosts.deny-before 라고 하나 복사해야한다.

그리고 /z_bjh/denylist 라는 파일을 하나 만들어주어야 한다.( 디렉토리는 마음대로 수정 )

하도 예전에 인터넷 여기저기 보고 만들어놓은 것인지라 .

위에서는 라인번호를 같이 표시했다. ( 왜냐하면 저걸 그대로 복사하면 라인이 바뀌게 되고 그럼 스크립트가 실행이 안되므로 ㅋㅋ )

원리는 간단하다 /var/log/secure 파일을 읽어서 접속 Fail 메시지를 count 해서 그 아이피만 추출하여
/etc/hosts.deny 에 등록해주는 것이다.

상용서버에도 돌려봤는데 정말 리눅스 해킹시도는 엄청나다.

이걸 사용하든지 아예 /etc/hosts.deny 에 ALL:ALL 로 해놓고 접속하는 곳의 아이피를 /etc/hosts.allow 에
등록시켜 놓고 사용하는게 편하다 ^^ㅋ


(1) 실사용방법은 위의 스크립트를 deny_ip.sh 라고 작성하여 만들고
(2) /etc/hosts.deny 를 복사하여 /etc/hosts.deny_defore 라고 하나 만들어주고
(3) touch /z_bjh/denylist 라고 하나 만들어줌

사용되다가 실제로 5번이 틀리면 자동으로 /etc/hosts.deny 에 아이피가 등록되고 접속이 아예할 수 없게 된다.
5분마다 /var/log/secure 파일을 검색해서 다시 추가해준다.
만약 secure 파일이 지나가버려서 새로운 secure 파일로 생성될 때에는
초기화가 된다.


2009. 9. 18. 13:57

10. 파일비교 스크립트2

이번에는 두개의 파일이 있고
A 라는 파일은 원본 파일로 데이터량이 많다
B 라는 파일은 A보단 양이 적다.

원하는 것은 A 에서 B 를 제외한 나머지의 데이터를 알고 싶다.


#!/bin/bash
A=/user1/si/z_bjh/a.txt
B=/user1/si/z_bjh/b.txt
sdiff $A $B > c.txt
sed -n "/</p" c.txt | awk '{print $1}' > d.txt


sdiff 라는 것은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두 텍스트 파일을 동시에 같이 보면서 그 차이점을 살펴보려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sdiff file1 file2

sdiff 명령은 두 파일을 각각 한 줄씩 서로 비교해 가면서, 두 파일의 내용을 모두 출력합니다.

그 줄이 서로 다른 경우는 | 기호, file1에만 있는 경우는 < 기호, file2에만 있는 경우는 > 기호, 두 줄이 서로 똑 같은 경우는 아무것도 없습니다



예를 들어 a.txt 에 1부터 8까지 넣고  b.txt 에 1부터 4까지 넣었다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오른쪽의 < 표시는 a.txt 에는 존재하고 b.txt 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sdiff a.txt b.txt
1                                                               1
2                                                               2
3                                                               3
4                                                               4
5                                                             <
6                                                             <
7                                                             <
8                                                             <




최종 파일 비교 스크립트 -> http://darkrang.tistory.com/219

2009. 9. 10. 11:10

8. 파일 내용 비교1


mdn 이란 변수에 전화번호 9천개가 들어있는 파일로 cat 으로 일일이 하나씩 불러오게 함

#!/bin/bash
dir=/user1/si/z_bjh
for mdn in `cat /user1/si/z_bjh/icms_err`
do
sed -n "/"$mdn"/p" $dir/b.txt >> $dir/c.txt
done

그런다음에 b.txt 에 있는 내용중에서  mdn 변수에 있는 전화번호가 있는 라인만 sed 로 뽑아서 c.txt 에 저장하는 것


참고로 필요한 mdn 번호만 정리하기 위해서 cut -c 옵션으로 문자열의 수만 따로 뽑음
물론 awk 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구분필드가 명확하지 않아서 ㅡㅡㅋ

cut -c 21-31 c.txt >> d.txt

21번째 문자부터 31번째 문자까지만 뽑아서 d.txt 에 저장




최종 파일 비교 스크립트 -> http://darkrang.tistory.com/219




2009. 1. 30. 14:08

22. lame : mp3 인코더

lame  은 wav 파일을 mp3 형식으로 인코딩 하는 프로그램이다.


리눅스 상에서 변경할 수 잇으며 윈도우 용으로도 이미 프로그램이 나와 있다.

리눅스 상에서는 우선  rpm 이 설치되어있는지 확인하고, 없다면  soureforge  에서 다운 받아 설치하면 된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lame -h -b 128  original.wav original.mp3

여기서 옵션 값은 -h  : higher quality  로
-b : 비트레이트를 선택한다  비트레이트는 1초당 재생하는데 필요한 데이타의 크기를 정해준다.
      이 값을 작게하면  mp3 로 변환시에 좀 더 적은 용량으로 mp3 를 만들 수 있다.

자세한 다른 옵션 값이 궁금하다면 man 을 읽어보자!!

man lame


비트레이트에 대해 궁금하다면 다음의 링크 확인 .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3Fgez&l_cid=


lame --help
LAME 32bits version 3.98.2 (http://www.mp3dev.org/)

usage: lame [options] <infile> [outfile]

    <infile> and/or <outfile> can be "-", which means stdin/stdout.

RECOMMENDED:
    lame -V2 input.wav output.mp3

OPTIONS:
    -b bitrate      set the bitrate, default 128 kbps
    -h              higher quality, but a little slower.  Recommended.
    -f              fast mode (lower quality)
    -V n            quality setting for VBR.  default n=4
                    0=high quality,bigger files. 9=smaller files
    --preset type   type must be "medium", "standard", "extreme", "insane",
                    or a value for an average desired bitrate and depending
                    on the value specified, appropriate quality settings will
                    be used.
                    "--preset help" gives more info on these

    --longhelp      full list of options

    --license       print License information



-b n   For MPEG1 (sampling frequencies of 32, 44.1 and 48 kHz)
              n = 32, 40, 48, 56, 64, 80, 96, 112, 128, 160, 192, 224, 256, 320

              For MPEG2 (sampling frequencies of 16, 22.05 and 24 kHz)
              n = 8, 16, 24, 32, 40, 48, 56, 64, 80, 96, 112, 128, 144, 160

              Default is 128 for MPEG1 and 64 for MPEG2.



첨부파일은 CENTOS 에서의 lame 설치용 rpm 이다.
2008. 7. 3. 11:53

18. CentOS 에서 Xmanager 를 위한 설정하기

리눅스의 X 윈도우를 반드시 리눅스 시스템 앞에 앉아서 사용해야만 하는 불편을 덜어 주는 프로그램들이 있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리눅스의 X 윈도우를 MS windows 운영체제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요. 이처럼, 외부에서 X윈도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허밍버드사에서 나온 Exceed(엑시드), 국내 업체인 넷사랑에서 나온 Xmanager 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출처] Xmanager를 이용하여 리눅스 연결하기 |작성자 메저리그

실제로 CentOS 5 version 을 설치한 PC 로 의 설정을 해보도록 하자


우선 GDM 이라는 rpm 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rpm -qa | grep gdm

GDM version 확인

gdm --version
GDM setup 을 실행
gdmsetup

나오는 창에서 보안(Security)탭에서
원격 관리자 로그인 허용 탭에 체크 Allow remote system administrator login
사용자 삽입 이미지


만약 활성화가 되어 있지 않다면 <원격> 탭에서 Style 부분에서 Same as local 을 선택해주면 선택할 수 있게 활성화가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원격으로 Xmanager 를 사용해서 접속해보자.


2008. 6. 16. 09:22

17. 명령어 모드에서 네트워크 설정 ifconfig 와 route

물록 GUI ( graphic user interface ) 에서 네트워크의 설정이 훨씬 쉽다.
마우스 클릭으로 하면 되니까.

하지만 원격 시스템의 경우 VNC 접속조차 되지 않으면 명령어로 해야 한다.
SSH 콘솔 상에서의 설정을 살펴보자

우선 기본적으로 다음의 위치에 ifcfg-eth0 과 ifcfg-eth1 을 살펴보도록 하자 .
랜이 1 개라면 eth0 파일만 존재한다 .

/etc/sysconfig/network-script/

윈도우의 ipconfig 와 비슷한 명령이 바로 ifconfig 이다 .

ifconfig 로는 단순히 모든 eth 디바이스의 아이피 정보를 확인할 수 있지만 ifconfig 명령어로 직접
아이피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의 네트워크 정보를 가진 리눅스를 ifconfig 명령어와 route 명령어로 설정하자

ip address : 192.168.0.150
subnet mask : 255.255.255.0
default gateway : 192.168.0.1
broadcast : 192.168.0.255

ifconfig eth0 192.168.0.150 netmask 255.255.255.0 broadcast 192.168.0.255 up
route add default gw 192.168.0.1 dev eth0

위에서 첫번재 줄은 아이피와 서브넷을 설정한 것이고
아래 route 명령어는 디폴트GW 를 설정한 것이다 .


2008. 6. 4. 13:00

시스템관리툴킷 : 로그파일 이해하기

http://www-128.ibm.com/developerworks/kr/library/au-satlogfilebasics/


시스템 관리 툴킷 : 로그파일 이해하기


'리눅스 퍼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32bit 와 64bit 구분  (0) 2010.03.29
rpm 명령어 자세한 옵션  (2) 2008.11.11
mplayer 설치하기  (0) 2008.09.09
[펌글] 리눅스 하드 관리하기  (0) 2007.11.22
[펌글] DHCP 란?  (0) 2007.11.22
[펌글] VNC 서버  (1) 2007.11.22
2008. 5. 22. 16:49

15. 삼바서버 설정하기 ( 초간단)

REDHAT 기준으로 설명

일단 X-window 의 메뉴에서 System Settings >> Server Settings >> Samba
사용자 삽입 이미지

나타나는 화면에서

Add 를 눌러 디렉토리를 설정

Edit Samba Share 의 Access 탭에서 Allow access to everyone 선택

다시 Samba Server Configuration 에서
Perferences 를 눌러 나타나는 Server Settings 에서

(1) Base 탭에서
Workgroup 란에 WORKGROUP ( 이것은 보통 윈도우의 디폴트 값과 같이 설정하기 위해 )
(2) Security 탭에서
Authentication Mode 를 User 로 설정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런다음 사용하고자 하는 유저를 리눅스 유저에 추가

adduser test
<< test 라는 유저를 생성
passwd test
<< test 란 유저의 패스워드 설정

smbpasswd -a test
<< 삼바를 test 라는 유저가 사용하기 위한 패스워드 설정

그런 다음 service smb restart 하고

윈도우에서 \\서버의아이피
하면

아이디 패스워드를 물어보게 된다.

만약 접속자체가 안된다면 smb.conf 파일을 찾아서 ( /etc/samba/smb.conf )
거기의 hosts.allow 란에 자신의 네트워크 아이피 대역을 적어줌

2008. 5. 15. 10:58

13. 쓸데없는 파일 용량 줄이기

/var/spool/mail/ 디렉토리 밑의 root 나 아니면 다른 사용자로 온 메일들이 차곡차곡
쌓여있을 것이다.

이것은 물론 중요할 때가 있다. 하지만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필요없는 경우도 있다

더군다나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용량이 부담스러울때는
파일은 그대로 두고 싶고 용량만 0 으로 만들고 싶을때는
다음과 같이 한다

 cat /dev/null > /var/spool/mail/root

이것은 root 파일은 그대로 계속 있게 하면서
용량만 0 으로 만들어 버린다.

주기적으로 지우고 싶다면 crontab 에 등록을 하면 된다.

2008. 5. 9. 12:36

12. 리눅스에 대한 좋은 링크

2008. 4. 21. 09:47

10. 시간 동기화 rdate 와 다른 NTP

리눅스 서버의 시간 동기화를 시키는 방법은 rdate 와 NTP 를 사용하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그중에서 NTP 는 좀더 정확한시간을 동기화 시킬 수 있다고 한다.

리눅스에서 NTP 를 사용하는 방법은
(1) GUI 에서
System setting >> Date & Time 에서 NTP 탭을 눌러서 동기화시킬 서버의 IP 나 주소
( 물론 주소로 하기 위해서는 DNS 설정이 잘 되어 있어야 함 ) 를 추가하고
확인 을 누르면 NTP 데몬이 시작되면서 시간동기화를 수행한다.

(2) Text 환경 즉 SSH 에서
/etc/ntp.conf 파일중에서 맨 마지막에 보면

restrict 0.pool.ntp.org mask 255.255.255.255 nomodify notrap noquery
restrict 1.pool.ntp.org mask 255.255.255.255 nomodify notrap noquery
restrict 2.pool.ntp.org mask 255.255.255.255 nomodify notrap noquery
server time.bora.net
restrict time.bora.net mask 255.255.255.255 nomodify notrap noquery
server 203.248.240.103
restrict 203.248.240.103 mask 255.255.255.255 nomodify notrap noquery

빨간색이 새로 추가한 time 동기화 서버의 주소임.

service ntdp start 하면 될 듯.



추가 질문 사항

-  NTP 는 도대체 얼마마다 시간 동기화를 시키는 것일까 ?
( ntpd.conf 파일을 찾아봐야 하나 ?? )

NTP Packet 발송 주기
    - Broadcast Type : 64초마다  1개의 Transaction (Packet 1개) 을 보냄 → 지속됨
    - unicast type      : 64초마다  1개의 Transaction (Packet 2개) 을 보냄 → 8번
                        64초마다  5개의 Transaction 연속 성공 시 → 128초 주기로 변경
                        128초마다 5개의 Transaction 연속 성공 시 → 256초 주기로 변경
                        256초마다 5개의 Transaction 연속 성공 시 → 512초 주기로 변경
                        512초마다 5개의 Transaction 연속 성공 시 → 1024초 주기로 변경
                        실패 시 64초로 poll 주기 변경


2008. 3. 5. 17:41

[리눅스 다운받는 곳]

http://iso.linuxquestions.org/


만약 링크가 문제된다면 이 글은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2007. 11. 20. 09:44

9. 리눅스 df 명령어

리눅스에서 df 명령어는 현재 사용중과 남은 하드의 용량을 표시해주는 명령어이다.
df - 디스크의 남은 공간을 보여준다.

SYNOPSIS
       df  [-aikPv] [-t fstype] [-x fstype] [--all] [--inodes] [--type=fstype]
       [--exclude-type=fstype]  [--kilobytes]  [--portability]  [--print-type]
       [--help] [--version] [filename...]

DESCRIPTION
       이  문서는 더이상 최신 정보를 담고 있지않다.  그래서,  몇몇틀릴  경우도
       있고,  부족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완전한매뉴얼을 원하면, Texinfo 문
       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이 매뉴얼 페이지는 df 명령의 GNU  버전에  대한  것이다.  df 명령은 지정
       한 filename이 있는 파일 시스템의 사용가능한디스크 공간 정보를 보여준다.
       아무런 filename 인자가 없으면, 현재 시스템에서사용하는 모든 파일 시스템
       의 사용가능한 디스크 공간 정보를 보여준다.  나타나는 숫자들의 기본 단위
       는  1KB이다. 물론이 단위는 POSIXLY_CORRECT 환경 변수의 설정으로 512Byte
       로 바꿀 수 있다.

       만일 filename 인자로 디스크 장치 이름이 절대 경 로   형 식 으 로  ( 예,
       /dev/hda1) 주어지면, 그 해당 디스크의 사용가능한 디스크 공간을보여준다.
       이 버전에서는 마운트(mount(8))되지 않은 파일 시스템에 대해서는그  공 간
       정 보를 보여지 못한다. 이런 이유는 각각의 파일 시스템 구조에대한 정보들
       을 확실하게 알아야하는데, 마운트 되지 않은 상태에서는이런 정보들을 알기
       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OPTIONS
       -a, --all
              파 일 시스템의 크기가 0인 것도 모두 보여준다. 초기값은 제외 시킨
              다.  이런 파일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자동 마운트관련, 특별  구 성,
              pseudo-filesystems 이 다.   어 떤  시스템에서는 ‘‘ignore’’, 또는
              ‘‘auto’’ 형태의 파일 시스템이 초기값으로 생략되는 경우가  있 다.
              이때 이옵션을 사용한다.

       -i, --inodes
              블럭 사용 정보 대신에 inode 사용정보를 보여준다.  inode란 특별한
              종류의 디스크 블럭인데, 이것은 파일이름, 소유주, 권한, 시간   정
              보, 디스크에서의 위치등에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k, --kilobytes
              보여주는 숫자들의 단위를 512 바이트 블럭 단위 대신 1KB 단위로 보
              여준다.  이 옵션은 POSIXLY_CORRECT 환경 변수를 무시한다.

       -P, --portability
              POSIX에서 사용되는 형태로 보여준다.  이 옵션은 한 줄에 하나의 파
              일   시스템 정보만 보여주다는 것을 제외하고는기본 출력 양식과 같
              다. 한 마운트 장치는 그 줄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 말은 만약 마운
              트 장치 이름이 20 문자 이상이면,(원격 마운트파일 시스템일 경우는
              그렇다) 줄이 나뉘어 지는데, 이런 경우는 생략되거나축약된다.

       -T, --print-type
              각 파일시스템의 형태를 보여준다.  특정 파일시스템의 정보만을  원
              할 경우에는 --type= 또는 --exclude-type= 옵션을 사용한다.

       -t, --type=fstype
              fstype 값을 가진 파일시스템만 보여준다.  초기값은 모든 파일 시스
              템을 보여준다.

       -x, --exclude-type=fstype
              fstype 값을 가진 파일시스템만 빼고 나머지 모든 파일 시스템 정 보
              를 보여준다.

       -v     무시: System V 용 df와 호환을 위해서 있는 옵션.

사용법: df [OPTION]... [FILE]...
각각의 FILE이 있는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합니다.
기본값은 모든 파일시스템입니다.

  -a, --all             include filesystems having 0 blocks
  -a, --all             0블럭을 가진 파일시스템도 출력에 포함합니다
        --block-size=SIZE use SIZE-byte blocks
        --block-size=SIZE SIZE 바이트 크기의 블럭을 사용합니다

  -h, --human-readable  print sizes in human readable format (e.g., 1K 234M 2G)
  -h, --human-readable  크기를 사람이 알기 쉽게(1K, 234M, 2G등)표시합니다

  -H, --si              likewise, but use powers of 1000 not 1024
  -H, --si              비슷합니다만 1024배 대신 1000배를 사용합니다

  -l, --local           limit listing to local filesystems
  -i, --inodes          블럭 사용 대신 inode정보를 표시합니다

  -k, --kilobytes       like --block-size=1024
  -k, --kilobytes       --block-size=1024와 같습니다

  -l, --local           limit listing to local filesystems
  -l, --local           지역 파일시스템만 나열합니다

  -m, --megabytes       like --block-size=1048576
  -m, --megabytes       --block-size=1048576과 같습니다
      --no-sync         do not invoke sync before getting usage info (default)
      --no-sync         사용정보를 얻기 전에 sync를 부르지 않습니다(기본값)

  -P, --portability     use the POSIX output format
  -P, --portability     POSIX사양으로 출력합니다
      --sync            invoke sync before getting usage info
      --sync            사용정보를 얻기 전에 sync를 부릅니다

  -t, --type=TYPE       limit listing to filesystems of type TYPE
  -t, --type=TYPE       TYPE형태의 파일시스템에 대한 정보만 표시합니다

  -T, --print-type      print filesystem type
  -T, --print-type      파일시스템 형태를 출력합니다

  -x, --exclude-type=TYPE   limit listing to filesystems not of type TYPE
  -x, --exclude-type=TYPE   TYPE형태가 아닌 파일시스템 정보만 표시합니다

  -v                    (ignored)
  -v                    (무시합니다)

      --help            display this help and exit
      --help            이 도움말을 표시하고 종료합니다

      --version         output version information and exit
      --version         버전 정보를 표시하고 종료합니다


추천하는 사용방법
df -h

이것은 h 옵션을 사용하는 것으로 human 즉 사람이 읽기편하게 용량을 Mega 또는 Giga 단위로 바꿔서 표현해준다.
df -i

inode 로 바꿔서 나타내준다.



2007. 10. 15. 11:06

8. 리눅스 명령어 find 와 옵션

find 명령어는 리눅스가 그렇듯 다양한 옵션과 함께 쓰일때 강력해진다.

1. 파일이름으로 찾기
전체 디렉토리에서 wav 라는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모두 찾기
find / -name *.wav

find [디렉토리] -name[ 옵션] 
전체디렉토리에서 ab로 시작하는 파일을 찾고 ls 명령어로 화면에 출력한다
find / -name 'ab*' -ls

2. 마지막으로 수정된 파일의 시간으로 찾기
옵션종류 
-atime n : File was last accessed n*24 hours ago.
-ctime n : File status was last changed n*24 hours ago
-mtime n : File data was last modified n*24 hours ago

-amin n : File was last accessed n minutes ago.
-cmin n : File status was last changed n minutes ago.
-mmin n : File data was last modified n minutes ago

현재 디렉토리에서 정확히 3일 전 것만 찾는 것
find . -mtime 3

현재 디렉토리에서 3일 이전의 파일들을 모두 찾는 것
find . -mtime +3

현재 디렉토리에서 3일 전의 파일들 중에서 OUT으로 시작하는 이름으로 찾고 ls 로 나타내는 것
 find . -mtime 3 -name 'OUT*' -ls

현재 디렉토리에서 OUT 으로 시작하는 파일 이름을 찾고 지우는 명령
find . -name "OUT200703*" -exec rm -f {} \;

3. 디렉토리를 찾기
전체 디렉토리에서 et로 시작하는 디렉토리를 찾기
find / -name 'et*' -type d

4. 원하는 파일을 찾고 그 안의 내용을 grep 으로 찾기

디렉토리에 에서 txt 파일을 찾고 그 안에 내용중에서 특정 내용을 grep 으로 찾는 명령어

[root@localhost temp]# more 1.txt
1111111111111111111111
2222
[root@localhost temp]# more 2.txt
2222
[root@localhost temp]#
[root@localhost temp]#
[root@localhost temp]# find . -name "*.txt" -exec grep 22 {} \;
2222
2222
[root@localhost temp]#




'내가쓰는리눅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리눅스에 대한 좋은 링크  (2) 2008.05.09
11. 파일 개수 세기  (3) 2008.05.07
10. 시간 동기화 rdate 와 다른 NTP  (6) 2008.04.21
[리눅스 다운받는 곳]  (1) 2008.03.05
9. 리눅스 df 명령어  (0) 2007.11.20
7. 리눅스의 시간 date 와 hwclock  (0) 2007.09.04
6. vsftp 유용한 옵션  (0) 2007.07.13
5. cron 과 그 활용법  (0) 2007.07.12
4. 리눅스 du 와 df  (2) 2007.07.11
3. cp 리눅스 copy 명령어  (1) 2007.07.03
2007. 9. 4. 11:24

7. 리눅스의 시간 date 와 hwclock

리눅스는 커널이 사용하는 시스템의 시간 date 와
BIOS 에서 사용하는 hwclock 이 있습니다.

자자. 한국내의 서버를 설치하는 경우는 공인 IP 를 받기 쉽습니다.
따라서 서버의 시간을 타임서버와 동기화 시키면 정말 쉽지요.

rdate -s time.bora.net && hwclock -w


이렇게 사용하면 time.bora.net 이라는 타임서버와 시스템시간(커널시간) 을 동기화 시키고 나서
다시 이것을 하드웨어시간(BIOS시간) 으로 설정해버린다는 이야기지요.

확인은 어떻게 할까요?
date 를 치면 시스템시간이 나오고
hwclock 을 치면 하드웨어 시간이 나오겟지요.

( 기타 rdate -p time.bora.net 은 그냥 타임서버의 시간을 알아보고자 할때 쓰면
time.bora.net 의 시간을 표시하고 서버의 시간 설정에는 변화가 없지요 )


하지만 외국의 서버일 경우 공인IP 를 받기도 어려울 뿐더러
관리자가 직접 서버의 시간을 맞춰주어야 하는 불편함;; 이 존재하지요

따라서 서버의 시간을 manual 하게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date 090112302007


이렇게 하면 2007년 9월1일 12시 30분으로 맞춰집니다.
date 월(2자리)일(2자리)시간(2자리)분(2자리)연도(4자리)

이렇게 하면 일단 시스템시간이 변경되었겟지요
이것을 하드웨어시간으로 바꾸게 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칩니다.

hwclock --systohc


이것은 뒤의 옵션을 잘 보명 알 수 있듯이 system 시간을 hwclock 으로 설정한다는 소리지요

-------- 추가사항

중요한 것은 굳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일정주기로 cron 에 걸어주더라도
실제 상용서버에서는 차라리 NTP 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NTP ( Network Time Protocol )

CentOS 나 래드헷 기타 어느 리눅스든지 NTP 를 설치가 되어 있을 것이고
서비스를 추가해주면 된다.

NTP 주소를 위의 time.bora.net 으로 설정해주면
알아서 자동으로 시간을 NTP 서버와 동기화 시켜 맞춘다.

그리고 위의 crontab 에 등록해서 했을 때 너무 시간차가 많이 나게 되면
서버에서 돌아가는 어플리케이션이 시간에 민감한 경우 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


'내가쓰는리눅스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파일 개수 세기  (3) 2008.05.07
10. 시간 동기화 rdate 와 다른 NTP  (6) 2008.04.21
[리눅스 다운받는 곳]  (1) 2008.03.05
9. 리눅스 df 명령어  (0) 2007.11.20
8. 리눅스 명령어 find 와 옵션  (12) 2007.10.15
6. vsftp 유용한 옵션  (0) 2007.07.13
5. cron 과 그 활용법  (0) 2007.07.12
4. 리눅스 du 와 df  (2) 2007.07.11
3. cp 리눅스 copy 명령어  (1) 2007.07.03
2. find 의 다양한 옵션  (0) 2007.07.03